가족상담및가족치료
모집중- 사회복지학
강좌소개
수업개요 | 개인 및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고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문적 실천기술로 가족상담 및 치료의 주요 모델과 실제를 학습한다. 이를 위해 가족 및 가족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가족상담과 가족치료의 필요성, 기능 및 역할, 사회복지실천과의 관련성에 대해 이해한다. 또한,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발전과정과 관련된 제반이론, 이를 기초로 진행되는 가족상담 및 치료과정 및 가족치료모델의 실제 등을 학습한다. 가족사정 및 평가, 가족치료 및 종결의 일련의 과정들을 사례분석과 역할연습을 통해 가족상담 및 치료의 과정과 기법을 훈련한다. 나아가 가족상담 및 치료의 실제에서 필요한 기법과 예상되는 문제점 등을 검토하여 가족상담에 필요한 능력을 배양하고, 가족문제를 해결하고 예방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 실험할 수 있는 가족상담 및 치료의 기법을 익히고 활용할 수 있다. | ||||||||||||||
---|---|---|---|---|---|---|---|---|---|---|---|---|---|---|---|
수업목표 | 본 교과목은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과 이론, 그리고 실제적 기법을 이해하고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가족의 구조와 기능, 변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가족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루고, 상담 및 치료 과정에서 전문적 실천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또한,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가 사회복지실천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지에 대해 통합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전문가로서의 역량과 실천적 안목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둔다.
● 가족 및 가족변화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필요성과 역할, 사회복지실천과의 관련성을 설명할 수 있다. ●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발전과정과 관련된 주요 이론들을 이해하고, 다양한 가족치료 모델의 특징과 실제 적용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가족사정 및 평가, 상담과 치료과정, 종결단계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실제 사례 분석과 역할연습을 통해 실천적으로 익힐 수 있다. ●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에서 사용되는 주요 기법들을 습득하고, 이를 실제 상담 장면에 적용하여 가족기능 향상 및 문제 해결에 활용할 수 있다. ● 가족상담 및 치료 과정 중 예상되는 문제점을 검토하고, 전문적 실천기술을 통해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 다양한 가족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탐색하며, 전문가로서의 실천능력과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다. |
||||||||||||||
평가기준 |
|
||||||||||||||
수료기준 | 출석률80%, 상대평가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모두 미응시 시 미수료) | ||||||||||||||
특이사항 |
강의계획서
과목명 | 교수명 | 교수연락처 | 이메일 | 년도/차시 |
---|---|---|---|---|
가족상담및가족치료 | 신주혜 | 1588-4035 | help@uni-edu.co.kr | 2025년 1-10차 |
학습기간 | 강의시간 | 학점 | 평가구분 | 수강대상 강의실 및 주요 수업방법 |
2025년 07월 28일 ~ 2026년 02월 28일 | 15주 | 3 | 상대평가 |
<수강대상>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자 <주요 수업 방법> -원격강의 |
평가기준 | |||||||
---|---|---|---|---|---|---|---|
출석 | 중간고사 | 기말고사 | 과제 | 토론 | 퀴즈 | 기타 | 계 |
15% | 25% | 25% | 15% | 10% | 5% | 5% | 100% |
과목 수료조건: 총점 60점 이상(60점 미만 F), 출석률 80%이상(출석률 80%미만은 출석과락) |
주요 학사일정 |
|
---|---|
과목개요 | 개인 및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고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문적 실천기술로 가족상담 및 치료의 주요 모델과 실제를 학습한다. 이를 위해 가족 및 가족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가족상담과 가족치료의 필요성, 기능 및 역할, 사회복지실천과의 관련성에 대해 이해한다. 또한,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발전과정과 관련된 제반이론, 이를 기초로 진행되는 가족상담 및 치료과정 및 가족치료모델의 실제 등을 학습한다. 가족사정 및 평가, 가족치료 및 종결의 일련의 과정들을 사례분석과 역할연습을 통해 가족상담 및 치료의 과정과 기법을 훈련한다. 나아가 가족상담 및 치료의 실제에서 필요한 기법과 예상되는 문제점 등을 검토하여 가족상담에 필요한 능력을 배양하고, 가족문제를 해결하고 예방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 실험할 수 있는 가족상담 및 치료의 기법을 익히고 활용할 수 있다. |
수업목표 | 본 교과목은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과 이론, 그리고 실제적 기법을 이해하고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가족의 구조와 기능, 변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가족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루고, 상담 및 치료 과정에서 전문적 실천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또한,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가 사회복지실천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지에 대해 통합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전문가로서의 역량과 실천적 안목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둔다.
● 가족 및 가족변화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필요성과 역할, 사회복지실천과의 관련성을 설명할 수 있다. ●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발전과정과 관련된 주요 이론들을 이해하고, 다양한 가족치료 모델의 특징과 실제 적용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가족사정 및 평가, 상담과 치료과정, 종결단계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실제 사례 분석과 역할연습을 통해 실천적으로 익힐 수 있다. ●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에서 사용되는 주요 기법들을 습득하고, 이를 실제 상담 장면에 적용하여 가족기능 향상 및 문제 해결에 활용할 수 있다. ● 가족상담 및 치료 과정 중 예상되는 문제점을 검토하고, 전문적 실천기술을 통해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 다양한 가족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탐색하며, 전문가로서의 실천능력과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다. |
상대평가 안내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평가인정 학습과정 운영지침에 따라 평가는 상대평가로 진행됩니다. (교육부 고시 제 2015-85호, 2016년 1월 6일 제정, 2016년 1월 1일 시행) 상대평가에 의거하여 학습자의 순위에 따라 백분율로 산정되며 A(30%), B(40%), C이하(30%)의 비율을 기준으로 성적이 부여됩니다. 또한 부여받은 점수는 최종 점수조정을 거쳐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 최종적으로 성적보고가 됩니다. (출석률 80%미만, 상대평가 점수 60점 미만은 F처리되며 상대평가에서 제외됩니다.) |
주별 | 차시 | 강의(실습ㆍ실기ㆍ실험) 내용 |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 | |
---|---|---|---|---|
제1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가족의 개념 |
|
|
학습내용 | 1. 가족이란 2. 가족의 개념 |
|||
학습목표 | 1. 가족의 의미와 보편성을 이해하고, 한국 사회에서의 가족주의와 개인화 경향을 설명할 수 있다. 2. 가족의 개념을 역사적, 학문적, 인식적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사회 변화와 가족 변화 |
|
|
학습내용 | 1. 사회와 가족 환경 변화 2. 가족 구조와 기능 변화 |
|||
학습목표 | 1. 한국 사회의 주요 변화 양상(경제, 기술, 인구 등)을 파악할 수 있다. 2. 가족 환경 변화(저출산, 고령화, 여성의 사회참여 등)의 원인과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3. 가족 구조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4. 가족 기능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
|||
제2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가족치료의 개념과 특성 |
|
|
학습내용 | 1. 가족치료와 가족치료사 2. 가족치료의 특성 |
|||
학습목표 | 1. 가족치료와 가족치료사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 가족치료와 개인치료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가족치료의 발달 |
|
|
학습내용 | 1. 가족치료의 발달 배경과 발달 단계 2. 가족치료의 모델 |
|||
학습목표 | 1. 가족치료의 발달 배경과 발달 단계를 설명할 수 있다. 2. 가족치료의 모델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3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초기 가족치료의 이론 |
|
|
학습내용 | 1. 일반체계이론 2. 사이버네틱스와 초기 가족치료 연구 |
|||
학습목표 | 1. 초기 가족치료의 일반체계이론, 사이버네틱스를 파악할 수 있다. 2. 가족을 하나의 상호작용적 체계로 바라보는 체계적 관점을 설명할 수 있다. 3. 초기 이론이 실제 가족치료의 실천에 미친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후기 가족치료의 이론 |
|
|
학습내용 | 1. 후기 가족치료의 이론(1) 2. 후기 가족치료의 이론(2) |
|||
학습목표 | 1. 포스트모더니즘과 2차 사이버네틱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구성주의와 사회구성주의, 울트라모더니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4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가족생활주기의 관점 및 단계 |
|
|
학습내용 | 1. 가족생활주기의 관점 2. 가족생활주기 단계와 발달과제 |
|||
학습목표 | 1. 가족생활주기 관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학자별 가족생활주기 단계와 과업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가족생활주기 단계별 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한국형 가족생활주기와 이혼과 재혼 가족의 가족생활주기 |
|
|
학습내용 | 1. 한국형 가족생활주기와 문제 2. 이혼과 재혼 가족의 가족생활주기 |
|||
학습목표 | 1. 한국형 가족생활주기와 생활주기별 문제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 2. 이혼과 재혼 가족의 가족생활주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5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다세대 가족치료의 이해 |
|
|
학습내용 | 1. 발달 배경과 가정 2. 주요 개념 |
|||
학습목표 | 1.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의 발달 배경과 가정을 파악할 수 있다. 2.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의 주요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다세대 가족치료의 치료과정 |
|
|
학습내용 | 1. 치료목표 및 치료과정 2. 치료자 역할 및 치료기법 |
|||
학습목표 | 1. 다세대 가족치료의 목표 및 치료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2. 다세대 가족치료의 치료자 역할과 치료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6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경험적 가족치료의 이해 |
|
|
학습내용 | 1. 경험적 가족치료 모델의 이론적 배경 2. 경험적 가족치료 모델의 주요 개념 |
|||
학습목표 | 1. 경험적 가족치료 모델의 이론적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 2. 경험적 가족치료 모델의 주요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경험적 가족치료의 치료과정 |
|
|
학습내용 | 1. 치료목표 및 치료과정 2. 치료자 역할 및 치료기법 |
|||
학습목표 | 1. 경험적 가족치료의 목표와 치료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2. 경험적 가족치료의 치료자 역할과 치료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7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구조적 가족치료의 이해 |
|
|
학습내용 | 1. 구조적 가족치료 모델의 발달 배경 2. 구조적 가족치료 모델의 주요 개념 |
|||
학습목표 | 1. 구조적 가족치료 모델의 발달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 2. 구조적 가족치료 모델의 주요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구조적 가족치료의 치료과정 |
|
|
학습내용 | 1. 치료목표 및 치료과정 2. 치료자 역할 및 치료기법 |
|||
학습목표 | 1. 구조적 가족치료의 목표와 치료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2. 구조적 가족치료의 치료자 역할과 치료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8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중간고사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2차시 | 차시제목 | 중간고사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제9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전략적 가족치료의 이해 |
|
|
학습내용 | 1. 전략적 가족치료 모델의 발달 배경 2. 전략적 가족치료 모델의 주요 개념 |
|||
학습목표 | 1. 전략적 가족치료 모델의 발달 배경을 파악할 수 있다. 2. 전략적 가족치료 모델의 주요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전략적 가족치료의 치료과정 |
|
|
학습내용 | 1. 치료목표 및 치료과정 2. 치료자 역할 및 치료기법 |
|||
학습목표 | 1. 전략적 가족치료의 목표 및 치료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2. 전략적 가족치료의 치료자 역할 및 치료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10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해결중심 단기치료의 이해 |
|
|
학습내용 | 1. 해결중심 단기치료 모델의 발달 배경 2. 해결중심 단기치료 모델의 가정과 원리 |
|||
학습목표 | 1. 해결중심 단기치료 모델의 발달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 2. 해결중심 단기치료 모델의 가정과 원리를 파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해결중심 단기치료의 치료과정 |
|
|
학습내용 | 1. 치료목표 및 치료과정 2. 치료자 역할 및 치료기법 |
|||
학습목표 | 1. 해결중심 단기치료의 목표 및 치료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2. 해결중심 단기치료의 치료자 역할 및 치료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11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이야기 치료의 이해 |
|
|
학습내용 | 1. 이야기 치료 모델의 발달 배경 2. 이야기 치료 모델의 기본 전제 |
|||
학습목표 | 1. 이야기 치료 모델의 발달 배경을 파악할 수 있다. 2. 이야기 치료 모델의 가정과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이야기 치료의 치료과정 |
|
|
학습내용 | 1. 치료목표 및 치료과정 2. 치료자 역할 및 치료기법 |
|||
학습목표 | 1. 이야기 치료의 목표 및 치료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2. 이야기 치료의 치료자 역할 및 치료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12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부모교육과 애착이론 |
|
|
학습내용 | 1. 부모교육이론의 배경 2. 부모교육의 필요성 3. 부모의 양육방식 4. 애착이론 |
|||
학습목표 | 1. 부모교육이론의 배경을 파악할 수 있다. 2.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3. 부모의 양육방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애착유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효과적인 대화법과 갈등해결 방안 |
|
|
학습내용 | 1. 효과적인 대화법 2. 효과적인 갈등해결 방안 3. 자녀의 학습코치 4. 건강하고 행복한 가족 5. 부모교육 실습 |
|||
학습목표 | 1. 부모교육의 사례 분석과 역할연습을 통해 실천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2. 나-전달법을 설명할 수 있다. 3. 갈등해결 방안을 파악할 수 있다. 4. 자녀의 학습지도와 코치 기술을 파악할 수 있다. 5. 건강하고 행복한 가족 형성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13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이마고 부부관계치료 |
|
|
학습내용 | 1. 이마고 부부관계치료의 이론적 배경 2. 발달과정의 상처와 힘겨루기 패턴 3. 이마고 부부치료 실습과 부부대화법 4. 이마고 부부치료의 치료기법 |
|||
학습목표 | 1. 이마고 부부관계치료를 설명할 수 있다. 2. 부부대화법을 단계별로 설명할 수 있다. 3. 이마고 부부치료를 파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가트만의 부부상담 모델과 심상부부치료 |
|
|
학습내용 | 1. 가트만의 부부상담 모델 2. 심상부부치료 3. 부부치료 실습 |
|||
학습목표 | 1. 부부상담 사례 분석과 역할연습을 통해 실천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2. 가트만의 부부상담 모델을 설명할 수 있다. 3. 심상을 통한 부부치료를 파악할 수 있다. |
|||
제14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가족평가 |
|
|
학습내용 | 1. 가족평가의 의미와 과정 2. 가족평가의 방법 3. 가족평가 검사도구 4. 평가의 주체 |
|||
학습목표 | 1. 가족평가의 의미, 과정, 기본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2. 가족평가 검사도구를 활용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가족치료의 주요 윤리 원칙 및 윤리적 딜레마 |
|
|
학습내용 | 1.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가치와 윤리 2.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주요 윤리 원칙 3.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윤리적 딜레마 4. 윤리적 의사결정 모델 |
|||
학습목표 | 1.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주요 윤리 원칙은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2.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윤리적 딜레마에 대해 파악하고 토론할 수 있다. 3.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윤리적 의사결정 모델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15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기말고사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2차시 | 차시제목 | 기말고사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수업 참고사항 |
별도 참고사항이 없습니다.
|
---|---|
강의 유형 |
이론중심( V ), 토론, 세미나 중심( ), 실기 중심( ), 이론 및 토론, 세미나 병행( ), 이론 및 실험, 실습 병행( ), 이론 및 실기 병행( )
|
교재 정보 |
교재정보 보기
|
수강후기
교재안내
총 0건교수소개

신주혜 교수님
- 주요학력
- 상명대학교 학사(가족복지학)
강남대학교 석사(사회복지학)
강남대학교 박사(사회복지학)
- 주요경력
- 현)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강사
전) 강원관광대학교 겸임교수
전) 강남대학교, 용인예술과학대학교 강사
전) 서울대학교 글로벌사회공헌단 전문위원
전) 한국자원복지재단 기획실천팀장
전) 서울시 동작구 마을자치센터 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