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수도학 I
모집중- 건축공학
강좌소개
수업개요 | 상하수도에 관한 종합적인 지식 습득을 목표로 하여, 원수 관리부터 정수, 하수처리까지의 상하수도의 전반적인 이론을 학습한다. 세부내용으로는 상수도에서 수량(Water Quantity), 수질(Water Quality), 수원에서는 물의 순환과 수질(Hydrologic Cycle and Water Quality), 우리나라 수자원의 특성과 부존량을 학습한다. 취수에서는 하천수 취수, 지하수 취수 등을 학습하며 도수 및 송수에서는 송수방식, 송수관로, 수격현상(Water Hammer), 관종, 관로의 매설위치와 깊이, 송수관로의 부대설비에 대해 살펴본다. 그밖에 정수 및 배수 및 급수시설에 대해 배운다. 이를 통해 상수도의 설비와 이론에 대한 학습을 통해 원수 관리부터 정수 및 급수 등에 대한 상수도의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 ||||||||||||||
---|---|---|---|---|---|---|---|---|---|---|---|---|---|---|---|
수업목표 | ● 상수도의 수량(Water Quantity) 계획과 수요 산정 방법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급수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상수 수질(Water Quality)의 기준과 주요 항목을 이해하며, 수질 분석 결과를 해석하고 수질 개선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 물의 순환 과정(Hydrologic Cycle)을 설명하고, 수문 순환과 수질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다. ● 우리나라 수자원의 특성과 부존량을 파악하고, 지역적 특성에 따른 수자원 활용 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 ● 하천수 및 지하수의 취수 방식을 이해하고, 각 방식의 장단점과 적용 조건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 도수 및 송수 방식의 개념을 이해하고, 송수관로의 설계 요소를 실제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 ● 수격현상(Water Hammer)의 원리와 발생 조건을 이해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 대책을 설명할 수 있다. ● 송수관로의 관종, 매설 위치 및 깊이 등 설계 요소를 이해하고, 적절한 자재와 시공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 송수관로에 포함되는 부대설비의 종류와 기능을 설명하고, 실제 배치 사례를 통해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 정수처리 과정의 전반적인 흐름과 주요 처리 공정을 이해하고, 각 단계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 배수 및 급수설비의 구성과 기능을 이해하고, 건물 및 도시 단위의 급수 시스템 설계에 적용할 수 있다. ● 상수도 시스템 전체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원수 관리부터 급수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상하수도 이론에 기반한 실무 능력을 바탕으로, 실제 상수도 설비 설계 및 운영에 대한 기본 역량을 갖출 수 있다. |
||||||||||||||
평가기준 |
|
||||||||||||||
수료기준 | 출석률80%, 상대평가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모두 미응시 시 미수료) | ||||||||||||||
특이사항 |
강의계획서
과목명 | 교수명 | 교수연락처 | 이메일 | 년도/차시 |
---|---|---|---|---|
상하수도학 I | 박기경 | 1588-4035 | help@uni-edu.co.kr | 2025년 1-10차 |
학습기간 | 강의시간 | 학점 | 평가구분 | 수강대상 강의실 및 주요 수업방법 |
2025년 07월 28일 ~ 2026년 02월 28일 | 15주 | 3 | 상대평가 |
<수강대상>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자 <주요 수업 방법> -원격강의 |
평가기준 | |||||||
---|---|---|---|---|---|---|---|
출석 | 중간고사 | 기말고사 | 과제 | 토론 | 퀴즈 | 기타 | 계 |
15% | 25% | 25% | 15% | 10% | 5% | 5% | 100% |
과목 수료조건: 총점 60점 이상(60점 미만 F), 출석률 80%이상(출석률 80%미만은 출석과락) |
주요 학사일정 |
|
---|---|
과목개요 | 상하수도에 관한 종합적인 지식 습득을 목표로 하여, 원수 관리부터 정수, 하수처리까지의 상하수도의 전반적인 이론을 학습한다. 세부내용으로는 상수도에서 수량(Water Quantity), 수질(Water Quality), 수원에서는 물의 순환과 수질(Hydrologic Cycle and Water Quality), 우리나라 수자원의 특성과 부존량을 학습한다. 취수에서는 하천수 취수, 지하수 취수 등을 학습하며 도수 및 송수에서는 송수방식, 송수관로, 수격현상(Water Hammer), 관종, 관로의 매설위치와 깊이, 송수관로의 부대설비에 대해 살펴본다. 그밖에 정수 및 배수 및 급수시설에 대해 배운다. 이를 통해 상수도의 설비와 이론에 대한 학습을 통해 원수 관리부터 정수 및 급수 등에 대한 상수도의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
수업목표 | ● 상수도의 수량(Water Quantity) 계획과 수요 산정 방법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급수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상수 수질(Water Quality)의 기준과 주요 항목을 이해하며, 수질 분석 결과를 해석하고 수질 개선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 물의 순환 과정(Hydrologic Cycle)을 설명하고, 수문 순환과 수질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다. ● 우리나라 수자원의 특성과 부존량을 파악하고, 지역적 특성에 따른 수자원 활용 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 ● 하천수 및 지하수의 취수 방식을 이해하고, 각 방식의 장단점과 적용 조건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 도수 및 송수 방식의 개념을 이해하고, 송수관로의 설계 요소를 실제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 ● 수격현상(Water Hammer)의 원리와 발생 조건을 이해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 대책을 설명할 수 있다. ● 송수관로의 관종, 매설 위치 및 깊이 등 설계 요소를 이해하고, 적절한 자재와 시공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 송수관로에 포함되는 부대설비의 종류와 기능을 설명하고, 실제 배치 사례를 통해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 정수처리 과정의 전반적인 흐름과 주요 처리 공정을 이해하고, 각 단계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 배수 및 급수설비의 구성과 기능을 이해하고, 건물 및 도시 단위의 급수 시스템 설계에 적용할 수 있다. ● 상수도 시스템 전체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원수 관리부터 급수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상하수도 이론에 기반한 실무 능력을 바탕으로, 실제 상수도 설비 설계 및 운영에 대한 기본 역량을 갖출 수 있다. |
상대평가 안내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평가인정 학습과정 운영지침에 따라 평가는 상대평가로 진행됩니다. (교육부 고시 제 2015-85호, 2016년 1월 6일 제정, 2016년 1월 1일 시행) 상대평가에 의거하여 학습자의 순위에 따라 백분율로 산정되며 A(30%), B(40%), C이하(30%)의 비율을 기준으로 성적이 부여됩니다. 또한 부여받은 점수는 최종 점수조정을 거쳐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 최종적으로 성적보고가 됩니다. (출석률 80%미만, 상대평가 점수 60점 미만은 F처리되며 상대평가에서 제외됩니다.) |
주별 | 차시 | 강의(실습ㆍ실기ㆍ실험) 내용 |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 | |
---|---|---|---|---|
제1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상수도공학 개요 |
|
|
학습내용 | 1. 상수도 개념 2. 상수도 효과 3. 상수도 연혁 |
|||
학습목표 | 1. 상수도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상수도 효과와 우리나라 상수도 현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상수도의 역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상수도학 용어 정리 |
|
|
학습내용 | 1. 상수도학 용어 중 수리학 관련 용어 2. 상수도학 용어 중 토질역학 관련 용어 3. 상수도학 용어 중 환경공학 관련 용어 |
|||
학습목표 | 1. 상수도공학 용어 중 수리학 관련 용어를 설명할 수 있다. 2. 상수도공학 용어 중 토질역학 관련 용어를 설명할 수 있다. 3. 상수도공학 용어 중 환경공학 관련 용어를 설명할 수 있다. |
|||
제2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상수도의 구성 및 계통 |
|
|
학습내용 | 1. 상수도의 정의 2. 상수도의 목적 3. 상수도 시스템 4. 상수도 시설 계획년도 |
|||
학습목표 | 1. 상수도의 정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상수도의 목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상수도 시스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상수도 시설 계획년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상수도 시설 기본계획 |
|
|
학습내용 | 1. 계획급수구역 및 인구 2. 장래인구 추정 방법 3. 장래인구 계산법 |
|||
학습목표 | 1. 계획급수구역 및 인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각각의 장래인구 추정 방법을 구별할 수 있다. 3. 장래인구 계산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주요 계산법의 개념과 적용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3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계획급수량 |
|
|
학습내용 | 1. 계획급수량의 정의와 급수량의 구성 2. 계획급수량의 목적에 따른 분류 3. 상수도 시설 설계기준 급수량 |
|||
학습목표 | 1. 계획급수량의 정의와 급수량의 구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계획급수량을 사용 목적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3. 각종 상수도 시설의 설계기준이 되는 급수량을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수질 및 수질검사 |
|
|
학습내용 | 1. 사용 목적에 따른 수질 2. 수질오염 3.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수질검사 |
|||
학습목표 | 1. 사용 목적에 따른 수질을 구별할 수 있다. 2. 수질오염의 개념과 주요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3.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수질검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4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물의 자정작용 |
|
|
학습내용 | 1. 물의 자정작용 2. 물의 자정작용 인자 3. Whipple 수질 변화 4단계 4. 호소의 물순환 |
|||
학습목표 | 1. 물의 자정작용의 종류와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2. 자정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Whipple 수질 변화 4단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호소의 물순환 및 계절별 상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수질검사 및 수질오염 지표 |
|
|
학습내용 | 1. 부영양화 2. 수질검사 방법 3. BOD 4. DO |
|||
학습목표 | 1. 부영양화의 원인과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2. 수질검사 항목과 측정 목적을 설명할 수 있다. 3. BOD의 정의와 측정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4. DO 곡선의 개요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5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수원별 취수시설 |
|
|
학습내용 | 1. 물의 순환 2. 수자원의 특성과 부존량 3. 수원 선정 4. 지하수 |
|||
학습목표 | 1. 물의 순환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우리나라 수자원의 특성과 부존량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수원 선정 시 고려사항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지하수의 개념과 종류를 이해하고, 지하수 보전과 오염 방지를 위한 관리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수원별 취수 |
|
|
학습내용 | 1. 수원별 취수지점 선정 2. 수원별 취수시설 3. 하천수 취수, 지하수 취수 저수지 취수 및 취수시설 |
|||
학습목표 | 1. 수원별 취수지점의 선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수원별 취수시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하천수취수, 지하수취수, 저수지 취수 및 취수시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6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상수관로시설 |
|
|
학습내용 | 1. 도·송수방식의 종류와 특징 2. 개수로 및 관수로의 특징 3. 상수관로 설계공식 |
|||
학습목표 | 1. 도·송수방식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개수로 및 관수로의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상수관로 설계공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상수도관 설계 및 선정 |
|
|
학습내용 | 1. 상수관로 설계 계산 2. 상수도관의 선정 조건 3. 상수도관의 종류별 특징과 접합 방법 4. 관종, 관로의 매설위치와 깊이, 송수관로의 부대설비 |
|||
학습목표 | 1. 상수관로 설계 계산을 할 수 있다. 2. 상수도관의 선정 조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상수도관의 종류별 특징과 접합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관종, 관로의 매설위치와 깊이, 송수관로의 부대설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7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배수 및 급수계획 |
|
|
학습내용 | 1. 계획 배수량 2. 배수지의 위치 및 유효 수량 3. 급수방식의 특징 4. 교차연결의 원인 및 방지대책 5. 수격작용 이론 및 방지대책 |
|||
학습목표 | 1. 계획 배수량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배수지의 위치 및 유효 수량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직결식 및 탱크식 급수방식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4. 교차연결의 원인 및 방지대책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5. 수격현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정수장 계획 1 |
|
|
학습내용 | 1. 급수량 및 여유 수량 2. 정수처리 흐름 및 순서 3. 원수 수질에 따른 정수처리 방법 4. 정수 및 배수급수시설 |
|||
학습목표 | 1. 계획 정수량 설계에 기준이 되는 급수량 및 여유 수량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정수처리 흐름 및 순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원수 수질에 따른 정수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정수 및 배수급수시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8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중간고사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2차시 | 차시제목 | 중간고사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제9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정수장 계획 2 |
|
|
학습내용 | 1. 정수처리시설의 종류 2. 응집원리 3. 응집지 4. 응집제의 종류와 특성 |
|||
학습목표 | 1. 정수장 시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응집원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응집지의 시설 제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응집제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침전이론 |
|
|
학습내용 | 1. Jar Test 2. 입자의 침전 특성 3. Stokes법칙 4. 침전지 설계 관계식 |
|||
학습목표 | 1. Jar Test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입자의 침전 특성에 따른 공정 및 형태를 구분할 수 있다. 3. Stokes법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침전지 설계 관계식을 이해하고 관련 공식을 적용할 수 있다. |
|||
제10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침전지 이론 |
|
|
학습내용 | 1. 보통침전지, 약품침전지 2. 완속여과지, 급속여과지 3. 완속 및 급속여과에 사용되는 모래 분류 4. 여과지 면적 설계 |
|||
학습목표 | 1. 보통침전지 및 약품침전지의 제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완속여과지 및 급속여과지 제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완속 및 급속여과에 사용되는 모래의 품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여과 면적 공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염소소독 |
|
|
학습내용 | 1. 전염소처리 및 염소소독 2. 잔류염소의 정의 3. 염소요구량 공식 4. 염소처리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5. 불연속점 염소치리법 |
|||
학습목표 | 1. 전염소처리와 염소소독의 차이점을 구분할 수 있다. 2. 잔류염소를 정의하고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3. 염소요구량 공식을 설명할 수 있다. 4. 염소처리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5. 불연속점 염소처리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11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관거 배치 방식 |
|
|
학습내용 | 1. 각종 관거의 배치 방식 특징 2. 각종 하수관거 배치 방식 적용 대상 |
|||
학습목표 | 1. 각종 관거의 배치 방식의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각종 관거 배치 방식 적용 대상을 구별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계획우수량의 이해 |
|
|
학습내용 | 1. 합리식 2. 강우강도와 확률년수 3. 유달시간 및 지체현상 |
|||
학습목표 | 1. 합리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강우강도와 확률년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유달시간 및 지체현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12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계획오수량의 이해 |
|
|
학습내용 | 1. 하수도 계획인구 2. 계획오수량 구성 요소 3. 계획오수량 산정 4. 설계 기준 하수량 |
|||
학습목표 | 1. 하수도 계획인구의 산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계획오수량의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각종 계획오수량을 산정할 수 있다. 4. 하수도 각 시설에 대한 설계 기준 하수량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관거 설계기준 하수량의 이해 |
|
|
학습내용 | 1. 설계기준 하수량 2. Manning, Chezy, Hazen-Williams 공식 3. 최대 유속 4. 관거의 구배 |
|||
학습목표 | 1. 각 관거의 설계기준 하수량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Manning공식, Chezy공식, Hazen-Williams 공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관거의 최대 유속과 이상적인 유속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관거의 구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13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하수도관에 대한 이해 |
|
|
학습내용 | 1. 하수관거의 조건 2. 하수관거의 단면별 특징 3. 관거의 최소 관경 및 매설 깊이 4. Manston공식 |
|||
학습목표 | 1. 하수관거가 갖추어야 할 조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하수관거의 단면별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관거의 최소 관경 및 매설 깊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Manston 공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관거의 접합 및 시공에 대한 이해 |
|
|
학습내용 | 1. 관거 접합 고려사항 2. 접합 방법들의 특징 3. 하수관거 매설 시공 방법 |
|||
학습목표 | 1. 관거 접합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각 접합 방법들을 구분하고 설명할 수 있다. 3. 하수관거 매설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14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하수처리 |
|
|
학습내용 | 1. 하수처리의 개념 2. 하수처리 흐름도에 대한 이해 3. 하수처리 공정 4. 생물학적 처리법 |
|||
학습목표 | 1. 하수처리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 하수처리 흐름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하수처리 공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생물학적 처리법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활성슬러지법의 종류 및 분류 |
|
|
학습내용 | 1. 스크린의 종류 및 재원 2. 침사지의 시설 제원 3. 폭기조에 대한 이해 4. 침전지 시설 제원 5. 활성슬러지법에 대한 이해 |
|||
학습목표 | 1. 스크린의 종류 및 설치 위치를 구분할 수 있다. 2. 침사지의 시설 제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예비폭기조의 설치 목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최초침전지의 시설 제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5. 활성슬러지법의 정의 및 처리 흐름도를 설명할 수 있다. 6. 활성슬러지법의 장·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15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기말고사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2차시 | 차시제목 | 기말고사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수업 참고사항 | 별도 참고사항이 없습니다. |
---|---|
강의 유형 | 이론중심( V ), 토론, 세미나 중심( ), 실기 중심( ), 이론 및 토론, 세미나 병행( ), 이론 및 실험, 실습 병행( ), 이론 및 실기 병행( ) |
교재 정보 |
교재정보 보기
|
수강후기
교재안내
총 0건교수소개

박기경 교수님
- 주요학력
-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 학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건설사업관리 전공)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수료(토목공학 전공)
- 주요경력
- 현) 전문건설공제조합 건설기술인 법정교육 강의
전) 현대건설 토목시공, BIM 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