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구조 I
모집중- 건축공학
강좌소개
수업개요 | 본 교과목은 건축구조의 개념과 건축물을 형성하는 골조의 구성이나 형태와 관련된 각종 구법과 부위별 마감 등 건축물의 시스템에 관하여 구체적이고 기초적인 지식을 구조 방식별로 이해하는 것이 학습목표이다. 이를 위해 건축구법 및 건축구조의 분류를 기본으로 하여 목구조의 특징, 접합, 구조형식에 대하여 습득한다. 조적조의 원리, 벽돌쌓기, 벽체 및 개구부 둘레, 블록구조의 벽체 구조 및 기초, 각부 돌쌓기,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원리, 구조형식을 익힌다. 그리고 철골구조, 철골철근 콘크리트구조, 특수철골구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구조 및 고층건물의 구조형식에 대해 학습한다. 따라서 건축물의 구성과 구조를 종합적인 관점에서 균형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 ||||||||||||||
---|---|---|---|---|---|---|---|---|---|---|---|---|---|---|---|
수업목표 | ● 건축구법 및 건축구조의 개념을 분류 체계에 따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건축물의 기초 구조 및 지반 개량, 기초파기, 흙막이 공법 등 기초 부위의 구조 원리와 공법을 설명할 수 있다. ● 조적조의 원리, 벽돌쌓기 방식, 모르타르 및 줄눈의 구성, 벽체 및 개구부 주변의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 블록구조의 벽체 구조 및 기초를 이해하고, 시공 절차 및 주의사항을 설명할 수 있다. ● 석재의 종류 및 성질, 돌쌓기 방식, 각부 돌쌓기 공법 등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원리와 각 부위의 구조 형식을 이해하고 시공 및 배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 등 특수 콘크리트 구조의 특징과 시공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 철골구조 및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SRC)의 구성, 접합 방식, 부위별 구조 설계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 특수 철골구조(트러스, 강관, 경량 철골구조 등)의 목적과 구조적 특성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고층 건물 및 대공간 구조 형식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 목구조의 특징, 접합 방식, 구조 형식을 이해하고 부재별 구조적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 건축물의 구성 요소 간의 구조적 관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할 수 있다. |
||||||||||||||
평가기준 |
|
||||||||||||||
수료기준 | 출석률80%, 상대평가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모두 미응시 시 미수료) | ||||||||||||||
특이사항 |
강의계획서
과목명 | 교수명 | 교수연락처 | 이메일 | 년도/차시 |
---|---|---|---|---|
건축구조 I | 이윤식 | 1588-4035 | help@uni-edu.co.kr | 2025년 1-10차 |
학습기간 | 강의시간 | 학점 | 평가구분 | 수강대상 강의실 및 주요 수업방법 |
2025년 07월 28일 ~ 2026년 02월 28일 | 15주 | 3 | 상대평가 |
<수강대상>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자 <주요 수업 방법> -원격강의 |
평가기준 | |||||||
---|---|---|---|---|---|---|---|
출석 | 중간고사 | 기말고사 | 과제 | 토론 | 퀴즈 | 기타 | 계 |
15% | 25% | 25% | 15% | 10% | 5% | 5% | 100% |
과목 수료조건: 총점 60점 이상(60점 미만 F), 출석률 80%이상(출석률 80%미만은 출석과락) |
주요 학사일정 |
|
---|---|
과목개요 | 본 교과목은 건축구조의 개념과 건축물을 형성하는 골조의 구성이나 형태와 관련된 각종 구법과 부위별 마감 등 건축물의 시스템에 관하여 구체적이고 기초적인 지식을 구조 방식별로 이해하는 것이 학습목표이다. 이를 위해 건축구법 및 건축구조의 분류를 기본으로 하여 목구조의 특징, 접합, 구조형식에 대하여 습득한다. 조적조의 원리, 벽돌쌓기, 벽체 및 개구부 둘레, 블록구조의 벽체 구조 및 기초, 각부 돌쌓기,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원리, 구조형식을 익힌다. 그리고 철골구조, 철골철근 콘크리트구조, 특수철골구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구조 및 고층건물의 구조형식에 대해 학습한다. 따라서 건축물의 구성과 구조를 종합적인 관점에서 균형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
수업목표 | ● 건축구법 및 건축구조의 개념을 분류 체계에 따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건축물의 기초 구조 및 지반 개량, 기초파기, 흙막이 공법 등 기초 부위의 구조 원리와 공법을 설명할 수 있다. ● 조적조의 원리, 벽돌쌓기 방식, 모르타르 및 줄눈의 구성, 벽체 및 개구부 주변의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 블록구조의 벽체 구조 및 기초를 이해하고, 시공 절차 및 주의사항을 설명할 수 있다. ● 석재의 종류 및 성질, 돌쌓기 방식, 각부 돌쌓기 공법 등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원리와 각 부위의 구조 형식을 이해하고 시공 및 배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 등 특수 콘크리트 구조의 특징과 시공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 철골구조 및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SRC)의 구성, 접합 방식, 부위별 구조 설계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 특수 철골구조(트러스, 강관, 경량 철골구조 등)의 목적과 구조적 특성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고층 건물 및 대공간 구조 형식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 목구조의 특징, 접합 방식, 구조 형식을 이해하고 부재별 구조적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 건축물의 구성 요소 간의 구조적 관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할 수 있다. |
상대평가 안내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평가인정 학습과정 운영지침에 따라 평가는 상대평가로 진행됩니다. (교육부 고시 제 2015-85호, 2016년 1월 6일 제정, 2016년 1월 1일 시행) 상대평가에 의거하여 학습자의 순위에 따라 백분율로 산정되며 A(30%), B(40%), C이하(30%)의 비율을 기준으로 성적이 부여됩니다. 또한 부여받은 점수는 최종 점수조정을 거쳐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 최종적으로 성적보고가 됩니다. (출석률 80%미만, 상대평가 점수 60점 미만은 F처리되며 상대평가에서 제외됩니다.) |
주별 | 차시 | 강의(실습ㆍ실기ㆍ실험) 내용 |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 | |
---|---|---|---|---|
제1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건축과 건축물의 조건 |
|
|
학습내용 | 1. 건축(Architecture)의 의미와 기능 2. 건축물의 조건: 안전성, 거주성, 경제성 3. 건축구조의 분류 4. 구조물의 주요 구성 |
|||
학습목표 | 1. 건축의 정의와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2. 건축물이 충족해야 할 기본 조건을 설명할 수 있다. 3. 건축구법 및 건축구조의 다양한 분류 방법을 비교할 수 있다. 4. 구조물의 주요 구성 부분을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기초의 개요 및 분류와 조사 방법 |
|
|
학습내용 | 1. 기초 구조의 개요 2. 지정 형식상 분류와 기초판 형식에 의한 분류 3. 대지조사 4. 지반조사의 순서와 지반조사 방법 |
|||
학습목표 | 1. 기초 구조의 목적과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2. 기초의 분류 및 각 방식의 특징을 비교하고 구분할 수 있다. 3. 대지조사의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4. 지반조사의 순서 및 조사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2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지반개량 및 기초파기 |
|
|
학습내용 | 1. 지반개량 개요와 다짐 공법, 배수·탈수·압밀 공법, 고결 공법, 치환 공법 2. 기초 터파기 3. 다양한 터파기 공법 |
|||
학습목표 | 1. 지반개량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주요 공법의 종류와 특징을 나열할 수 있다. 2. 기초파기와 다양한 터파기 공법(오픈컷 공법, 버팀대 공법, 어스 앵커 공법 등)을 비교,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흙막이, 지정, 말뚝의 이해 |
|
|
학습내용 | 1. 흙막이 공법 2. 흙막이벽의 안전대책 3. 지정의 개념과 종류 및 재료 4. 말뚝의 분류, 배치, 특성, 공법 등 |
|||
학습목표 | 1. 다양한 흙막이 공법(널말뚝, 어스 앵커, 탑다운, 지하연속벽 공법 등)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2. 흙막이벽의 안전대책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지정(地床)의 역할과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4. 말뚝기초의 종류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3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제자리콘크리트 말뚝, 부동침하, 연약지반 대책 및 기초 관련 용어 |
|
|
학습내용 | 1. 제자리콘크리트 말뚝 개요 및 종류 2. 부등침하의 원인 3. 연약지반 대책 4. 기초 용어 |
|||
학습목표 | 1. 제자리콘크리트 말뚝의 개념과 종류를 비교, 설명할 수 있다. 2. 부등침하의 원인을 설명하고, 주요 원인을 나열할 수 있다. 3. 연약지반에 대한 대책을 제시할 수 있다. 4. 기초 구조와 관련된 주요 용어를 정의하고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벽돌구조의 개요 및 재료 특성 |
|
|
학습내용 | 1. 벽돌 구조 개념과 조적조 원리 2. 벽돌의 품질, 종류, 형상 3. 모르타르의 재료 구성과 강도 및 줄눈의 기능과 시공 방식 4. 벽돌 쌓기 종류, 다양한 벽체 쌓기법 , 개구부 둘레 쌓기법(인방보, 테두리보 등) 5. 벽돌벽 균열과 백화현상 |
|||
학습목표 | 1. 벽돌 구조의 기본 개념과 조적조의 원리 및 구성 재료를 설명할 수 있다. 2. 벽돌의 품질 및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3. 모르타르 배합 및 줄눈의 종류를 구분, 설명할 수 있다. 4. 벽돌 쌓기의 종류를 비교, 설명할 수 있다. 5. 다양한 벽체 쌓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6. 벽돌벽의 균열과 백화현상의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4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블록 구조 |
|
|
학습내용 | 1. 블록의 개요 2. 블록 구조의 종류 3. 블록의 형식과 품질 및 치수 4. 블록쌓기 시공 순서와 방법(인방 및 테두리보) |
|||
학습목표 | 1. 블록 구조의 정의와 장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 2. 다양한 블록 구조의 종류를 비교할 수 있다. 3. 블록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4. 블록쌓기 시공법을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블록 벽체 구조 및 용어정리 |
|
|
학습내용 | 1. 벽체의 종류(내력벽, 대린벽, 부축벽, 칸막이벽 등) 2. 습기와 빗물에 의한 중요결함 및 예방대책과 블록 쌓기 시 주의점 3. 본드빔, 길이쌓기, 마구리 쌓기 등 용어 |
|||
학습목표 | 1. 벽체 구조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2. 블록 벽체의 중요결함과 주의점을 설명할 수 있다. 3. 조적공사의 용어를 정의하고 바르게 사용할 수 있다. |
|||
제5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돌구조 개요 및 석재 종류와 성질 |
|
|
학습내용 | 1. 돌구조의 개요와 장단점 2. 석재의 종류(화성암, 수성암, 변성암)와 특성 및 석재의 가공과 마감 3. 돌 쌓기의 종류(조적재에 따른 종류, 쌓기 방법에 따른 종류) 4. 석재의 마감 공법 |
|||
학습목표 | 1. 돌구조의 특징과 장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 2. 석재의 종류 및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 3. 석재의 가공 및 마감 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4. 돌 쌓기의 종류와 마감 공법을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석재 시공 시 주의사항 석재 설치 공법 |
|
|
학습내용 | 1. 석재 시공 시 주의사항 2. 석재 시공 시 일반사항 3. 석재의 설치 공법(습식, 건식, 각부 돌쌓기, 석축 등) |
|||
학습목표 | 1. 석재 시공 시 주의해야 할 사항을 제시할 수 있다. 2. 석재 시공 시 필요한 일반사항을 설명할 수 있다. 3. 석재의 다양한 설치 공법을 비교, 설명할 수 있다. |
|||
제6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철근콘크리트구조 개요 및 재료의 특징 |
|
|
학습내용 | 1.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개요와 장단점 2. 시멘트의 정의와 종류 3. 골재의 개요와 특징 4. 철근의 종류, 성질, 구부림, 철근이음, 철근 배근 간격 및 피복 5. 물과 혼화재료(혼화재, 혼화제) |
|||
학습목표 | 1. 철근콘크리트구조 개요, 원리와 장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 2. 콘크리트 재료 중 시멘트의 정의와 종류를 제시하고 설명할 수 있다. 3. 콘크리트 재료 중 골재의 개요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4. 철근의 종류 및 성질과 이음의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5. 물의 조건과 혼화재료를 비교,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구조 계획 |
|
|
학습내용 | 1. 철근콘크리트구조 계획 2. 철근콘크리트구조 선정(평면, 부재 배치, 입면 등) 3. 각부 계획 4. 철근콘크리트 각부 구조 |
|||
학습목표 | 1. 철근콘크리트의 구조 계획의 개요, 목적과 형식을 설명할 수 있다. 2. 철근콘크리트구조 선정 기준을 설명할 수 있다. 3. 철근콘크리트 구조계획 시 스팬, 층높이, 기둥·보·슬래브 단면 등 주요 구조 부재의 계획 요소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4.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각부 구조(기초, 기둥)를 제시하고 설명할 수 있다. |
|||
제7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철근콘크리트 보와 슬래브 |
|
|
학습내용 | 1. 보(Beam & Girder)의 개요와 종류 2. 보의 구조(단면, 주근, 전단응력과 보강, 스터럽, 처짐 등) 3. 슬래브(1방향, 2방향, 장선, 플랫, 격자 등) |
|||
학습목표 | 1. 철근콘크리트의 각부 구조 중 보의 개요와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2. 보의 주요 구조적 요소(단면, 주근, 전단응력과 보강, 스터럽, 처짐 등)를 설명할 수 있다. 3. 철근콘크리트의 각부 구조 중 슬래브의 종류와 특징을 각 슬래브별로 서술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철근콘크리트 계단과 콘크리트 배합 및 철근콘크리트 시공 |
|
|
학습내용 | 1. 철근콘크리트 계단 개요와 종류 2. 콘크리트 배합 3.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시공 |
|||
학습목표 | 1. 철근콘크리트 계단의 개요와 종류(측보식, 경사 슬래브식, 캔틸레버식 등)를 설명할 수 있다. 2. 콘크리트 배합(배합강도, 물-시멘트비, 시공연도, 배합설계, 재료 계량 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시공 순서와 각 단계별 특징을 서술할 수 있다. |
|||
제8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중간고사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2차시 | 차시제목 | 중간고사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제9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특수콘크리트 및 거푸집의 재료와 적용 |
|
|
학습내용 | 1. 특수콘크리트의 종류와 특징 2. 거푸집의 개요 및 재료와 적용 부재별 특징 |
|||
학습목표 | 1. 다양한 특수콘크리트(레미콘, 한중, 서중, 경량골재콘크리트, 중량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등)를 이해하고, 각각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2. 거푸집의 목적과 재료의 특징을 이해하고 구조부재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고층 및 대공간 구조 형식과 철근콘크리트 용어 이해 |
|
|
학습내용 | 1. 고층 건물 구조 형식 2. 대공간 건물 종류 3. 철골콘크리트 관련 용어(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 등) |
|||
학습목표 | 1. 고층 건물 구조와 대공간 구조를 이해하고 다양한 구조를 비교, 설명할 수 있다. 2. 철근콘크리트 관련 용어를 설명할 수 있다. |
|||
제10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철골구조의 개요와 접합 방식의 이해 |
|
|
학습내용 | 1. 철골구조 개론: 정의, 장단점 및 강재의 종류 2. 볼트접합 Vs. 고장력볼트접합 3. 용접접합의 특징, 종류 및 기호 |
|||
학습목표 | 1. 철골구조의 개념과 장단점을 건축 사례와 함께 설명할 수 있다. 2. 다양한 철골 부재 접합 방법을 이해하고 구조적 특성과 시공상 장단점을 비교할 수 있다. 3. 접합부 설계의 기본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철골라멘 구조의 이해 |
|
|
학습내용 | 1. 라멘 구조의 특징, 장단점 2. 기둥 특징과 종류 및 구조 설계 방법 3. 보의 종류와 구조 설계 방법 4. 기둥과 보의 접합부의 개요와 접합부별 특징 |
|||
학습목표 | 1. 라멘 구조의 개요와 장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 2. 기둥의 특징과 종류 및 구조 설계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3. 보의 종류와 구조 설계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4. 기둥과 보의 접합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11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주각, 기타 부위 및 철골구조 용어 |
|
|
학습내용 | 1. 주각의 개요 및 고정지점 Vs. 핀지점 2. 데크플레이트 Vs. PC슬래브 3. 내진벽과 가새의 구조적 특징 4. 철골구조 용어 |
|||
학습목표 | 1. 주각의 개요와 설계 지점 선정에 따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2. 데크플레이트 바닥과 PC슬래브 적용에 따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3. 수평력 보강을 위한 내진벽 적용 시 특징을 이해하고, 가새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4. 철골구조 용어를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SRC 구조 및 특수 철골구조의 이해와 활용 |
|
|
학습내용 | 1. SRC 구조의 구성: 철골 + RC 조합, 부재 단면, 내력 성능 2. 트러스 구조의 종류와 구조적 특징 3. 강관 구조와 경량 철골구조의 목적과 특징 |
|||
학습목표 | 1.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SRC)의 정의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2. 트러스 구조의 구조적 목적과 설계 개념 및 주요 구성 요소(중도리, 거싯플레이트, 가새 등)의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3. 강관 구조 및 경량 철골구조의 목적과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12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목구조 개론, 구조 및 성질 |
|
|
학습내용 | 1. 목구조의 정의 및 특징 2. 목재의 구조 및 구조적 성질 3. 목재의 이음 4. 목재의 맞춤 및 쪽매 |
|||
학습목표 | 1. 목구조의 기본 개념과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2. 목재의 구조(나이테, 심재와 변재, 나뭇결 등) 및 구조적 성질(압축강도, 인장강도, 휨강도, 전단강도 및 경도 등)을 설명할 수 있다. 3. 목재의 이음(이음 위치, 철물 사용, 철물을 사용하지 않는 이음 등)의 방식과 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4. 목재의 맞춤(장부, 산지, 연귀) 및 쪽매 방식의 구조적 특징과 용도를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목조 벽체 및 지붕 구조와 주요 용어 |
|
|
학습내용 | 1. 목조 벽체 2. 지붕의 종류 3. 지붕틀 구조의 종류 4. 목구조 관련 용어 |
|||
학습목표 | 1. 목조 벽체(토대, 기둥, 층도리, 인방, 가새, 귀잡이 등) 구조의 각각의 구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목구조의 다양한 지붕 종류(외쪽지붕, 부섭지붕, 모임지붕, 박공지붕 등) 및 지붕틀 형태(서까래, 트러스 등)를 설명할 수 있다. 3. 목구조의 용어를 설명할 수 있다. |
|||
제13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창호의 개요, 개폐 방식 및 창틀·문틀의 구조 |
|
|
학습내용 | 1. 창호의 정의와 목적 2. 창호의 개폐 방식, 종류 및 기호와 크기 3. 창틀과 문틀의 구성 요소 |
|||
학습목표 | 1. 창호의 정의와 목적을 설명할 수 있다. 2. 창호의 다양한 개폐 방식, 창호의 종류 및 기호와 창호의 치수를 설명할 수 있다. 3. 창틀과 문틀의 주요 구조부를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문의 종류, 유리, 부속 자재 및 용어 |
|
|
학습내용 | 1. 문·창의 종류 및 구조(단창, 복층창, 목재문, 금속재 문 등) 2. 나사(Screws), 나사못, 볼트, 힌지, 경첩 등의 부자재 기능 3. 창호 용어 |
|||
학습목표 | 1. 재질과 조립 방식에 따른 문과 창의 종류와 구조적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2. 하드웨어 구성 요소(나사, 힌지, 손잡이 등)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3. 창호 용어를 설명할 수 있다. |
|||
제14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방수 구조 개론 및 공법 |
|
|
학습내용 | 1. 방수의 정의, 공법의 역사 및 각종 방수재 2. 방수공법의 분류 및 필요 성능 3. 각종 방수 공법 4. 방수 용어 |
|||
학습목표 | 1. 방수 구조의 목적과 역사 및 다양한 방수재를 제시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각종 방수 공법(아스팔트방수, 시트방수, 시멘트계방수, 도막방수 및 기타 방수 공법)을 분류할 수 있고, 각각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3. 방수 용어를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지붕 구조 개론, 지붕 잇기 및 홈통 |
|
|
학습내용 | 1. 지붕의 목적, 지붕 구조 결정 요인 및 지붕 재료 종류에 따른 최소물매 2. 지붕잇기 방식 3. 홈통의 목적과 종류 |
|||
학습목표 | 1. 지붕 구조의 지역별 특징과 재료를 설명할 수 있다. 2. 자재에 따른 지붕 잇기 방식(기와, 슬레이트, 금속판, 아스팔트 등)을 설명할 수 있다. 3. 홈통의 목적과 종류(처마흠통, 깔때기홈통, 자식홈통, 및 선홈통)를 설명할 수 있다. |
|||
제15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기말고사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2차시 | 차시제목 | 기말고사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수업 참고사항 |
별도 참고사항이 없습니다.
|
---|---|
강의 유형 |
이론중심( V ), 토론, 세미나 중심( ), 실기 중심( ), 이론 및 토론, 세미나 병행( ), 이론 및 실험, 실습 병행( ), 이론 및 실기 병행( )
|
교재 정보 |
교재정보 보기
|
수강후기
교재안내
총 0건교수소개

이윤식 교수님
- 주요학력
-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건축구조 전공)
어바나샴페인일리노이주립대 석사(토목구조 전공)
- 주요경력
- 현) YSE ENGINEERING 대표(건축/토목 계산, 설계)
전) 현대건설 차장(건축구조설계검토)
전) 인하대학교 겸임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