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설비 I
모집중- 건축공학
강좌소개
수업개요 | 건물의 유형 및 거주자의 활동목적에 따라 요구되는 각종의 성능에 대하여 고려함으로써 건축물의 질을 높이고 재실자의 쾌적도 및 작업능률을 높이기 위한 측면에서 건축설비에 대한 중요성이 고조되고 있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각종 설비 시스템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습득하도록 한다. 세부 내용으로는 급수설비, 급탕설비, 배수설비, 오수정화시설 및 정화조설비, 소화설비, 전기설비 등에 대해 학습한다. 급수용 설비 및 기기, 급수배관의 설계, 급탕배관방식, 급탕설비용 기기 및 재료, 급탕배관의 설계, 배수배관의 설계, 배수?통기관의 시공 시 요점, 분뇨정화조의 구조와 종류, 분뇨정화조의 계획, 화재와 소화설비, 각종 소화설비, 및 화재탐지 및 경보설비 등에 대한 이론을 습득하고, 전기이론, 전기배선의 원칙, 조명설비, 옥내배선과 공사, 동력설비와 제어반, 수송설비, 전원설비와 방재설비 및 통신 신호설비의 전기설비를 다룬다. 이를 통해 건축물에 적용되는 기계 및 전기설비의 특징과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건설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
---|---|---|---|---|---|---|---|---|---|---|---|---|---|---|---|
수업목표 | ● 건축물의 용도와 거주자의 활동 목적에 따라 요구되는 설비 성능 요소를 구분하고, 건축설비의 중요성과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 급수설비의 구성 요소(배관, 펌프, 수조 등)와 급수방식(직결식, 고가수조식 등)의 특징 및 설계 기준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급탕설비의 기초 이론, 급탕기기 및 배관방식(순환식, 직접가열식 등), 재료의 선택 기준을 이해하고 설계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 배수설비의 종류(위생 배수, 우수 배수 등) 및 배수관, 통기관 등의 배관계획과 시공 시 유의사항을 설명할 수 있다. ● 오수처리설비 및 정화조(분뇨 정화조, 합병정화조 등)의 구조, 처리 원리 및 계획 기준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화재 발생 시 대응을 위한 소화설비(옥내·옥외 소화전, 스프링클러, 분말소화기 등)의 종류, 작동 원리 및 설치 기준을 설명할 수 있다. ● 화재감지 및 경보설비의 구성 요소(감지기, 수신반, 경보장치 등)와 작동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설계 적용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건축물의 전기설비에 대한 기초 이론(전압, 전류, 부하 등)을 바탕으로 전기 배선 및 분전반 설계의 기본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 조명설비의 물리적 특성(광속, 조도, 휘도 등), 광원의 종류, 조명 기구의 배치 원칙 및 실내조명 계획 기준을 설명할 수 있다. ● 옥내배선 방식(노출·매입·덕트 배선 등)과 시공 방식, 동력설비 및 제어반 구성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 등 수송설비의 기본 구조, 작동 원리 및 설치 기준을 설명할 수 있다. ● 전원설비 및 비상전원, 방재설비(피뢰설비, 비상조명 등)의 필요성과 시스템 구성 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 통신 및 신호설비(인터폰, CATV, 경비시스템, 통합배선 등)의 종류, 구성, 건축물 내 연계 시스템을 설명할 수 있다. |
||||||||||||||
평가기준 |
|
||||||||||||||
수료기준 | 출석률80%, 상대평가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모두 미응시 시 미수료) | ||||||||||||||
특이사항 |
강의계획서
과목명 | 교수명 | 교수연락처 | 이메일 | 년도/차시 |
---|---|---|---|---|
건축설비 I | 이혜진 | 1588-4035 | help@uni-edu.co.kr | 2025년 1-10차 |
학습기간 | 강의시간 | 학점 | 평가구분 | 수강대상 강의실 및 주요 수업방법 |
2025년 07월 28일 ~ 2026년 02월 28일 | 15주 | 3 | 상대평가 |
<수강대상>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자 <주요 수업 방법> -원격강의 |
평가기준 | |||||||
---|---|---|---|---|---|---|---|
출석 | 중간고사 | 기말고사 | 과제 | 토론 | 퀴즈 | 기타 | 계 |
15% | 25% | 25% | 15% | 10% | 5% | 5% | 100% |
과목 수료조건: 총점 60점 이상(60점 미만 F), 출석률 80%이상(출석률 80%미만은 출석과락) |
주요 학사일정 |
|
---|---|
과목개요 | 건물의 유형 및 거주자의 활동목적에 따라 요구되는 각종의 성능에 대하여 고려함으로써 건축물의 질을 높이고 재실자의 쾌적도 및 작업능률을 높이기 위한 측면에서 건축설비에 대한 중요성이 고조되고 있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각종 설비 시스템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습득하도록 한다. 세부 내용으로는 급수설비, 급탕설비, 배수설비, 오수정화시설 및 정화조설비, 소화설비, 전기설비 등에 대해 학습한다. 급수용 설비 및 기기, 급수배관의 설계, 급탕배관방식, 급탕설비용 기기 및 재료, 급탕배관의 설계, 배수배관의 설계, 배수?통기관의 시공 시 요점, 분뇨정화조의 구조와 종류, 분뇨정화조의 계획, 화재와 소화설비, 각종 소화설비, 및 화재탐지 및 경보설비 등에 대한 이론을 습득하고, 전기이론, 전기배선의 원칙, 조명설비, 옥내배선과 공사, 동력설비와 제어반, 수송설비, 전원설비와 방재설비 및 통신 신호설비의 전기설비를 다룬다. 이를 통해 건축물에 적용되는 기계 및 전기설비의 특징과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건설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수업목표 | ● 건축물의 용도와 거주자의 활동 목적에 따라 요구되는 설비 성능 요소를 구분하고, 건축설비의 중요성과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 급수설비의 구성 요소(배관, 펌프, 수조 등)와 급수방식(직결식, 고가수조식 등)의 특징 및 설계 기준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급탕설비의 기초 이론, 급탕기기 및 배관방식(순환식, 직접가열식 등), 재료의 선택 기준을 이해하고 설계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 배수설비의 종류(위생 배수, 우수 배수 등) 및 배수관, 통기관 등의 배관계획과 시공 시 유의사항을 설명할 수 있다. ● 오수처리설비 및 정화조(분뇨 정화조, 합병정화조 등)의 구조, 처리 원리 및 계획 기준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화재 발생 시 대응을 위한 소화설비(옥내·옥외 소화전, 스프링클러, 분말소화기 등)의 종류, 작동 원리 및 설치 기준을 설명할 수 있다. ● 화재감지 및 경보설비의 구성 요소(감지기, 수신반, 경보장치 등)와 작동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설계 적용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건축물의 전기설비에 대한 기초 이론(전압, 전류, 부하 등)을 바탕으로 전기 배선 및 분전반 설계의 기본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 조명설비의 물리적 특성(광속, 조도, 휘도 등), 광원의 종류, 조명 기구의 배치 원칙 및 실내조명 계획 기준을 설명할 수 있다. ● 옥내배선 방식(노출·매입·덕트 배선 등)과 시공 방식, 동력설비 및 제어반 구성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 등 수송설비의 기본 구조, 작동 원리 및 설치 기준을 설명할 수 있다. ● 전원설비 및 비상전원, 방재설비(피뢰설비, 비상조명 등)의 필요성과 시스템 구성 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 통신 및 신호설비(인터폰, CATV, 경비시스템, 통합배선 등)의 종류, 구성, 건축물 내 연계 시스템을 설명할 수 있다. |
상대평가 안내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평가인정 학습과정 운영지침에 따라 평가는 상대평가로 진행됩니다. (교육부 고시 제 2015-85호, 2016년 1월 6일 제정, 2016년 1월 1일 시행) 상대평가에 의거하여 학습자의 순위에 따라 백분율로 산정되며 A(30%), B(40%), C이하(30%)의 비율을 기준으로 성적이 부여됩니다. 또한 부여받은 점수는 최종 점수조정을 거쳐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 최종적으로 성적보고가 됩니다. (출석률 80%미만, 상대평가 점수 60점 미만은 F처리되며 상대평가에서 제외됩니다.) |
주별 | 차시 | 강의(실습ㆍ실기ㆍ실험) 내용 |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 | |
---|---|---|---|---|
제1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건축설비의 정의 및 분류 |
|
|
학습내용 | 1. 건축설비의 정의 2. 건축설비의 분류 3. 건축설비의 중요성 |
|||
학습목표 | 1. 건축설비의 개념, 법적 정의, 적용범위를 구분하여 이해할 수 있다. 2. 건축설비의 분류와 주요 설비의 기능을 이해하고, 건축설비가 건물에 왜 중요한지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건축설비의 역사 및 역할 |
|
|
학습내용 | 1. 건축설비의 역사 2. 건축설비의 역할 |
|||
학습목표 | 1. 건축설비 역사의 흐름에 따라 시대별 역사와 우리나라의 건축설비 역사를 설명할 수 있다. 2. 건축물의 용도와 거주자의 활동 목적에 따라 요구되는 건축설비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2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급수설비의 기초 |
|
|
학습내용 | 1. 급수설비 수리 계산의 기초 2. 급수설비 상수도 공급 및 수질 기준 |
|||
학습목표 | 1. 급수설비 수리 계산의 기초(밀도, 비중, 비중량, 수두와 압력의 관계 등)를 설명할 수 있다. 2. 급수설비의 상수도 공급(정수처리과정) 및 수질 기준을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급수설비 정의 및 방식 |
|
|
학습내용 | 1. 급수설비 용어의 정의 2. 급수설비의 구성 요소 3. 급수방식의 특징 및 설계 기준 |
|||
학습목표 | 1. 급수설비 용어의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2. 급수설비의 구성 요소(배관, 펌프, 수조 등)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3. 급수방식(직결식, 고가수조식 등)의 특징 및 설계 기준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
제3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급수설비의 급수량 산정 |
|
|
학습내용 | 1. 급수량 산정 방법의 종류 2. 급수량 산정 방법 |
|||
학습목표 | 1. 급수설비의 급수량 산정 방법(인원수에 의한 방법, 건물면적에 의한 방법, 위생기구수에 의한 방법, 급수단위값에 의한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2. 급수설비의 급수량을 산정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급수설비의 관경 결정 |
|
|
학습내용 | 1. 급수설비의 관경 결정 방법 2. 급수설비의 관경 결정 순서 3. 급수배관의 설계 |
|||
학습목표 | 1. 급수설비의 관경 결정 순서를 설명할 수 있다. 2. 급수설비의 관경을 선정할 수 있다. 3. 급수배관의 설계를 설명할 수 있다. |
|||
제4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급탕설비 정의 및 특징 |
|
|
학습내용 | 1. 급탕설비 용어의 정의 2. 급탕의 성질 및 온도 3. 급탕설비 배관방식 |
|||
학습목표 | 1. 급탕설비의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용어를 설명할 수 있다. 2. 급탕의 온도성질 및 온도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3. 급탕설비의 배관방식(단관식, 복관식, 순환식 등)을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급탕방식의 종류 및 특징 |
|
|
학습내용 | 1. 개별식 급탕방식의 종류 및 특징 2. 중앙식 급탕방식의 종류 및 특징 3. 급탕설비의 가열방식 4. 급탕설비의 급탕기기 종류 |
|||
학습목표 | 1. 개별식 급탕방식의 종류 및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2. 중앙식 급탕방식의 종류 및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3. 급탕설비의 가열방식(간접가열식, 직접가열식 등)을 설명할 수 있다. 4. 급탕설비의 급탕기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5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급탕설비의 급탕량 산정 |
|
|
학습내용 | 1. 급탕량 산정 방법의 종류 2. 급탕량 산정 방법 3. 급탕순환펌프의 유량 및 양정 |
|||
학습목표 | 1. 급탕설비의 급탕량 산정 방법(인원수에 의한 방법, 기구수에 의한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2. 급탕설비의 급탕량을 산정할 수 있다. 3. 급탕순환펌프의 유량을 산정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급탕배관의 관경결정 및 설계 |
|
|
학습내용 | 1. 급탕배관의 관경 결정 방법 2. 급탕배관의 설계 3. 급탕배관의 신축이음 |
|||
학습목표 | 1. 급탕설비의 관경을 선정할 수 있다. 2. 급탕배관의 설계를 설명할 수 있다. 3. 급탕배관의 신축이음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6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위생기구 |
|
|
학습내용 | 1. 위생기구의 종류 및 특징 2. 절수설비의 특징 3. 위생기구 유닛화 4. 위생기구 설치 기준 |
|||
학습목표 | 1. 위생기구의 종류 및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2. 절수설비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3. 위생기구 유닛화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위생기구 설치 기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대변기와 소변기의 종류 및 세척방식 |
|
|
학습내용 | 1. 대변기의 종류 2. 대변기의 세척방식 3. 소변기의 종류 4. 소변기의 세척방식 |
|||
학습목표 | 1. 대변기의 종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대변기의 세척방식을 설명할 수 있다. 3. 소변기의 종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소변기의 세척방식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7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배수설비 정의 및 특징 |
|
|
학습내용 | 1. 배수설비의 종류 및 용어의 정의 2. 배수 트랩의 종류 및 특징 |
|||
학습목표 | 1. 배수설비의 종류(위생 배수, 우수 배수 등) 및 용어의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2. 배수 트랩의 종류 및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배수배관의 관경 결정 및 설계 |
|
|
학습내용 | 1. 배수배관의 관경 결정 방법 2. 배수배관의 설계 3. 배수배관의 시공 시 요점 |
|||
학습목표 | 1. 배수배관의 관경을 선정할 수 있다. 2. 배수배관의 설계를 설명할 수 있다. 3. 배수배관의 시공 시 유의사항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8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중간고사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2차시 | 차시제목 | 중간고사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제9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통기설비의 종류 및 특징 |
|
|
학습내용 | 1. 통기설비 용어의 정의 2. 통기설비의 목적 3. 통기설비의 종류 및 특징 |
|||
학습목표 | 1. 통기설비 용어의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2. 통기설비의 목적을 설명할 수 있다. 3. 통기설비의 종류 및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특수통기방식 및 관경 결정 |
|
|
학습내용 | 1. 특수통기방식의 종류 및 특징 2. 통기배관의 관경 결정 방법 3. 통기배관의 설계 4. 통기배관의 시공 시 요점 |
|||
학습목표 | 1. 특수통기방식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2. 통기배관의 관경을 선정할 수 있다. 3. 통기배관의 설계를 설명할 수 있다. 4. 통기배관 시공 시 유의사항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10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하수설비의 방식 및 특징 |
|
|
학습내용 | 1. 하수설비 용어의 정의 2. 하수처리 방식 3. 하수설비의 방류수 수질 기준 |
|||
학습목표 | 1. 하수설비 용어의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2. 하수처리 방식을 설명할 수 있다. 3. 하수설비의 방류수 수질 기준을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정화조 및 오수처리설비 |
|
|
학습내용 | 1. 정화조 및 오수처리설비 용어의 정의 2. 분뇨정화조의 구조 및 특징 3. 분뇨정화조의 처리 원리 및 계획 |
|||
학습목표 | 1. 정화조 및 오수처리설비 용어의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2. 분뇨정화조의 구조 및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3. 분뇨 정화조의 처리 원리 및 계획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11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화재와 소방설비 |
|
|
학습내용 | 1. 소방설비의 개요 및 용어 정의 2. 소방설비의 종류 3. 소화설비의 종류 및 특징 4. 옥내소화전 및 옥외소화전의 특징 |
|||
학습목표 | 1. 소방설비의 개요와 용어의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2. 소방설비의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3. 소화설비(옥내외, 소화전, 스프링클러, 분말소화기 등)의 종류 및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4. 옥내소화전과 옥외소화전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소화설비 |
|
|
학습내용 | 1. 스프링클러의 종류 및 특징 2. 분말소화기의 원리 및 특징 |
|||
학습목표 | 1. 스프링클러의 종류 및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분말소화기의 원리 및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12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화재탐지 및 경보설비 |
|
|
학습내용 | 1. 경보설비의 이해 2. 경보설비의 구성 요소 및 특징 3. 경보설비의 작동 원리 4. 경보설비의 설계 적용 방법 |
|||
학습목표 | 1. 화재탐지 및 경보설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화재감지 및 경보설비의 구성 요소(감자기, 수신반, 경보장치 등)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3. 경보설비의 작동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4. 경보설비의 설계 적용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피난설비 및 소화용수설비 및 소화활동설비 |
|
|
학습내용 | 1. 피난설비의 종류 및 특징 2. 소화용수설비의 종류 및 특징 3. 소화활동설비의 종류 및 특징 |
|||
학습목표 | 1. 피난설비의 종류 및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소화용수설비의 종류 및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소화활동설비의 종류 및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13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전기설비의 기초 |
|
|
학습내용 | 1. 전기의 전압, 전류, 부하 2. 전기설비의 종류 및 특징 3. 수변전설비 용어의 정의 및 특징 |
|||
학습목표 | 1. 전기설비의 기초 이론(전압, 전류, 부하 등)을 설명할 수 있다. 2. 전기설비의 종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수전설비와 변전설비의 용어의 정의 및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전력설비 및 통신정보설비 |
|
|
학습내용 | 1. 간선설비의 종류 및 특징 2. 전기 배선 및 분전반 설계의 원리 3. 전원설비 및 비상전원, 방재설비의 특징 4. 옥내배선 방식 및 동력설비와 제어반의 특징 5. 통신정보설비(통신 및 신호)의 종류 및 구성 |
|||
학습목표 | 1. 간선설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전기 배선 및 분전반 설계의 기본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3. 전원설비 및 비상전원, 방재설비의 필요성과 시스템 구성 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4. 옥내배선 방식과 시공 방식, 동력설비 및 제어반 구성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5. 통신 및 신호설비의 종류 및 구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14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조명설비 |
|
|
학습내용 | 1. 조명설비의 물리적 특징 2. 광원의 종류 3. 조명 기구의 배치 및 계획 기준 |
|||
학습목표 | 1. 조명설비의 물리적 특성(광속, 조도, 휘도 등)을 설명할 수 있다. 2. 광원의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3. 조명 기구의 배치 및 실내조명 계획 기준을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수송설비 |
|
|
학습내용 | 1. 수송설비의 종류 및 특징 2. 수송설비의 기본 구조 3. 수송설비의 작동 원리 및 설치 기준 |
|||
학습목표 | 1. 수송설비의 종류 및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 등 수송설비의 기본 구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수송설비의 작동 원리 및 설치 기준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15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기말고사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2차시 | 차시제목 | 기말고사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수업 참고사항 |
별도 참고사항이 없습니다.
|
---|---|
강의 유형 |
이론중심( V ), 토론, 세미나 중심( ), 실기 중심( ), 이론 및 토론, 세미나 병행( ), 이론 및 실험, 실습 병행( ), 이론 및 실기 병행( )
|
교재 정보 |
교재정보 보기
|
수강후기
교재안내
총 0건교수소개

이혜진 교수님
- 주요학력
- 가천대학교 공학사(건축설비공학 전공)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석사(실내설계 전공)
- 주요경력
- 현) 가톨릭 관동대학교 겸임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