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개론
모집중- 사회복지학
강좌소개
수업개요 | 사회학개론은 근대의 정신적, 경제적, 정치적 기본원리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근대성의 기본적 구조를 개괄하는 과목이다. 이에 따라 본 과목은 대중문화, 문화적 다양성, 섹슈얼리티, 여성 노동, 세계화, 한국 민주주의, 기술과 윤리 등의 주제를 세부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오늘날의 사회에 놓여 있는 제반 사회학적 쟁점들을 파악하고 이에 대해 어떤 시각을 가져야 하는지 검토하고 고민해본다. 본 과목을 통해 사회학의 문제의식과 기본개념, 기본관점을 이해할 수 있고, 현대 사회 속에서 인간 삶의 다양한 부분들이 어떻게 이뤄지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현대사회의 기본원리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현대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주제와 쟁점들을 개괄적으로 파악하고, 비판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다. | ||||||||||||||
---|---|---|---|---|---|---|---|---|---|---|---|---|---|---|---|
수업목표 | 1. 사회학적 문제의식과 관심, 사회학의 개념, 연구영역과 연구방법론을 설명할 수 있다.
2. 사회학의 성립과 발전과정, 고전 및 현대 사회학 이론, 주요 사회학자들에 대한 지식을 체득할 수 있다. 3. 사회화와 사회집단, 사회제도와 문화, 사회계층과 이동, 사회운동, 사회통제 등의 핵심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서술할 수 있다. 4. 현대사회 및 문화의 여러 양상과 변화, 쟁점들을 파악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 5. 새롭게 등장한 주제들과 시사점, 당면한 사회적 과제들을 개방적 시각에서 접근하고 이를 설명할 수 있다. |
||||||||||||||
평가기준 |
|
||||||||||||||
수료기준 | 출석률80%, 상대평가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모두 미응시 시 미수료) | ||||||||||||||
특이사항 |
강의계획서
과목명 | 교수명 | 교수연락처 | 이메일 | 년도/차시 |
---|---|---|---|---|
사회학개론 | 김성묵 | 1588-4035 | help@uni-edu.co.kr | 2025년 1-10차 |
학습기간 | 강의시간 | 학점 | 평가구분 | 수강대상 강의실 및 주요 수업방법 |
2025년 07월 28일 ~ 2026년 02월 28일 | 15주 | 3 | 상대평가 |
<수강대상>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자 <주요 수업 방법> -원격강의 |
평가기준 | |||||||
---|---|---|---|---|---|---|---|
출석 | 중간고사 | 기말고사 | 과제 | 토론 | 퀴즈 | 기타 | 계 |
15% | 25% | 25% | 15% | 10% | 5% | 5% | 100% |
과목 수료조건: 총점 60점 이상(60점 미만 F), 출석률 80%이상(출석률 80%미만은 출석과락) |
주요 학사일정 |
|
---|---|
과목개요 | 사회학개론은 근대의 정신적, 경제적, 정치적 기본원리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근대성의 기본적 구조를 개괄하는 과목이다. 이에 따라 본 과목은 대중문화, 문화적 다양성, 섹슈얼리티, 여성 노동, 세계화, 한국 민주주의, 기술과 윤리 등의 주제를 세부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오늘날의 사회에 놓여 있는 제반 사회학적 쟁점들을 파악하고 이에 대해 어떤 시각을 가져야 하는지 검토하고 고민해본다. 본 과목을 통해 사회학의 문제의식과 기본개념, 기본관점을 이해할 수 있고, 현대 사회 속에서 인간 삶의 다양한 부분들이 어떻게 이뤄지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현대사회의 기본원리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현대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주제와 쟁점들을 개괄적으로 파악하고, 비판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다. |
수업목표 | 1. 사회학적 문제의식과 관심, 사회학의 개념, 연구영역과 연구방법론을 설명할 수 있다.
2. 사회학의 성립과 발전과정, 고전 및 현대 사회학 이론, 주요 사회학자들에 대한 지식을 체득할 수 있다. 3. 사회화와 사회집단, 사회제도와 문화, 사회계층과 이동, 사회운동, 사회통제 등의 핵심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서술할 수 있다. 4. 현대사회 및 문화의 여러 양상과 변화, 쟁점들을 파악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 5. 새롭게 등장한 주제들과 시사점, 당면한 사회적 과제들을 개방적 시각에서 접근하고 이를 설명할 수 있다. |
상대평가 안내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평가인정 학습과정 운영지침에 따라 평가는 상대평가로 진행됩니다. (교육부 고시 제 2015-85호, 2016년 1월 6일 제정, 2016년 1월 1일 시행) 상대평가에 의거하여 학습자의 순위에 따라 백분율로 산정되며 A(30%), B(40%), C이하(30%)의 비율을 기준으로 성적이 부여됩니다. 또한 부여받은 점수는 최종 점수조정을 거쳐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 최종적으로 성적보고가 됩니다. (출석률 80%미만, 상대평가 점수 60점 미만은 F처리되며 상대평가에서 제외됩니다.) |
주별 | 차시 | 강의(실습ㆍ실기ㆍ실험) 내용 |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 | |
---|---|---|---|---|
제1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사회학의 성립과 연구영역 |
|
|
학습내용 | 1. 사회학의 개념과 성립 2. 사회학의 문제의식과 관심 3. 사회학의 연구영역 |
|||
학습목표 | 1. 사회학의 성립배경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2. 사회학의 문제의식과 관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사회학의 연구분야와 연구영역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사회학적 연구방법과 절차 |
|
|
학습내용 | 1. 사회학적 연구방법 2. 실증적 · 경험적 연구 3. 사회조사 방법과 절차 |
|||
학습목표 | 1. 사회학적 연구방법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2. 실증적 · 경험적 연구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3. 사회조사의 방법과 절차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2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사회학이론의 전개 |
|
|
학습내용 | 1. 사회학의 성립과 고전 사회학이론 2. 현대 사회학이론 |
|||
학습목표 | 1. 사회학의 성립과 고전 사회학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구조기능주의, 갈등이론, 상호작용론 등 현대 사회학이론의 흐름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주요 사회학자들 |
|
|
학습내용 | 1. 고전 사회학의 주요 학자들 2. 현대 사회학의 주요 학자들 |
|||
학습목표 | 1. 콩트, 마르크스, 베버, 뒤르켐 등 고전 사회학의 주요 학자들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2. 현대 사회학을 대표하는 주요 학자들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
|||
제3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사회화와 사회적 자아 |
|
|
학습내용 | 1. 인성, 사회적 자아 및 사회화의 개념 2. 사회화 기관 3. 사회화 이론 |
|||
학습목표 | 1. 인성과 사회적 자아, 사회화에 대해 정의할 수 있다. 2. 사회화를 담당하는 기관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3. 사회화와 관련한 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사회집단과 사회조직 |
|
|
학습내용 | 1. 사회집단의 유형 2. 공식조직의 개념과 기능 3. 비공식조직의 개념과 기능 |
|||
학습목표 | 1. 사회집단의 유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공식조직의 특성과 기능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3. 비공식조직의 개념, 순기능 및 역기능을 정의할 수 있다. |
|||
제4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문화의 개념과 특성 |
|
|
학습내용 | 1. 문화의 개념 2. 문화의 구성요소 3. 문화의 기능 및 특성 |
|||
학습목표 | 1. 문화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 문화의 구성요소를 열거할 수 있다. 3. 문화의 기능 및 특성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문화의 다양성과 문화변동 |
|
|
학습내용 | 1. 문화의 종류 2. 문화의 변동 3. 대중문화와 고급문화 4. 문화의 다양성과 문화적 상대주의 |
|||
학습목표 | 1. 문화의 종류를 나열할 수 있다. 2. 문화변동에 대해 정의할 수 있다. 3. 대중문화와 고급문화를 비교할 수 있다. 4. 문화의 다양성과 문화적 상대주의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
|||
제5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가족제도와 가족의 변화 |
|
|
학습내용 | 1. 가족의 정의 및 형태 2. 가족에 관한 이론 3. 가족의 기능 4. 가족의 변화 및 미래의 가족 |
|||
학습목표 | 1. 가족의 정의와 형태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2. 가족에 관한 이론을 설명할 수 있다. 3. 가족의 기능에 대해 정의할 수 있다. 4. 가족의 변화 및 미래의 가족에 대해 서술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사회학적 성 |
|
|
학습내용 | 1. 젠더와 성 역할 2. 성에 대한 관점 3. 성의 사회적 구성 |
|||
학습목표 | 1. 젠더와 성 역할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2. 성에 대한 관점을 해석할 수 있다. 3. 성의 사회적 구성에 대해서 서술할 수 있다. |
|||
제6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종교와 사회변동 |
|
|
학습내용 | 1. 종교를 보는 시각 2. 종교의 기능 3. 종교와 사회변동 |
|||
학습목표 | 1. 종교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비교할 수 있다. 2. 종교가 수행하는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3. 종교와 사회변동의 관계, 이를 설명하는 이론을 해석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정치와 민주주의 |
|
|
학습내용 | 1. 정치제도의 유형 2. 국가와 시민사회 3. 민주주의 형태와 이론 |
|||
학습목표 | 1. 정치제도의 제반 유형을 비교할 수 있다. 2. 국가와 시민사회, 그 관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민주주의 형태와 이론에 대해 서술할 수 있다. |
|||
제7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인구, 저출산과 고령화 |
|
|
학습내용 | 1. 인구이론 2. 저출산이론 3. 인구구조와 인구이동 4. 인구변동 요인 |
|||
학습목표 | 1. 인구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저출산이론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3. 인구구조의 유형과 인구이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인구변동 요인들을 열거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도시화 |
|
|
학습내용 | 1. 농촌사회와 도시사회 2. 도시화의 개념과 과정 3. 도시의 생태학적 모형 4. 한국의 도시화 과정 |
|||
학습목표 | 1. 농촌사회와 도시사회를 구분할 수 있다. 2. 도시화의 개념과 과정에 대해 서술할 수 있다. 3. 도시의 생태학적 모형을 비교할 수 있다. 4. 한국의 도시화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8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중간고사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2차시 | 차시제목 | 중간고사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제9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자본주의 경제, 일과 노동 |
|
|
학습내용 | 1. 경제제도의 유형 2. 일의 특성과 사회적 중요성 3.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일과 노동 |
|||
학습목표 | 1. 경제제도의 유형을 비교할 수 있다. 2. 일 특성의 변화와 사회적 중요성을 서술할 수 있다. 3.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일과 노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미디어와 정보사회 |
|
|
학습내용 | 1. 미디어의 발달과 사회 2. 정보사회의 개념과 이론 3. 정보사회와 사회변화 4. 정보사회의 기능과 역기능 |
|||
학습목표 | 1. 미디어의 발달과 사회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2. 정보사회의 개념과 이론에 대해 서술할 수 있다. 3. 정보사회가 미치는 사회적 영향을 해석할 수 있다. 4. 정보사회의 기능과 역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10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사회계층의 개념과 이론 |
|
|
학습내용 | 1. 사회 불평등과 사회계층 2. 계층구조의 유형 3. 사회계층이론 |
|||
학습목표 | 1. 사회 불평등 및 사회계층의 개념과 내용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2. 계층구조의 유형을 비교할 수 있다. 3. 사회계층을 설명하는 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사회계층의 분화와 사회이동 |
|
|
학습내용 | 1. 사회계층의 분화 2. 사회이동의 유형 3. 사회이동의 요인 |
|||
학습목표 | 1. 사회계층의 분화에 대해 서술할 수 있다. 2. 사회이동의 유형을 구별 및 설명할 수 있다. 3. 사회이동의 개인적, 구조적 요인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11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현대사회문제와 지속가능사회 |
|
|
학습내용 | 1. 사회문제의 정의와 특성 2. 현대의 사회문제 3. 지속가능사회 |
|||
학습목표 | 1. 사회문제의 정의와 특성을 서술할 수 있다. 2. 현대사회의 사회문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설명할 수 있다. 3. 지속가능사회와 쟁점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사회운동의 유형과 이론 |
|
|
학습내용 | 1. 집합행동의 유형 2. 사회운동의 유형 3. 사회운동과정과 현대사회운동 4.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이론 |
|||
학습목표 | 1. 집합과 집합행동의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2. 사회운동의 유형을 기술할 수 있다. 3. 사회운동과정과 현대사회운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이론에 대해 서술할 수 있다. |
|||
제12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사회통제와 일탈행동 |
|
|
학습내용 | 1. 일탈행동의 개념과 기능 2. 일탈에 대한 이론 3. 일탈과 사회통제 |
|||
학습목표 | 1. 일탈행동의 개념과 기능을 서술할 수 있다. 2. 일탈을 설명하는 사회학 이론들을 비교할 수 있다. 3. 일탈과 사회통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사회복지와 사회보장제도 |
|
|
학습내용 | 1. 사회복지의 개념과 가치 2. 사회복지의 목적과 기능 3. 사회보장제도 |
|||
학습목표 | 1. 사회복지의 개념과 가치에 대해 서술할 수 있다. 2. 사회복지의 목적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사회보장제도의 유형과 내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13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세계화의 개념과 영향 |
|
|
학습내용 | 1. 세계화의 개념과 배경 2. 세계화의 특징과 영향 3. 세계화의 결과 |
|||
학습목표 | 1. 세계화의 개념과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 2. 세계화의 특징과 영향을 기술할 수 있다. 3. 세계화의 결과를 해석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가정 |
|
|
학습내용 | 1. 다문화사회의 개념과 이론 2. 다문화사회의 전개과정 3. 다문화사회에서 다문화가정과 문제 |
|||
학습목표 | 1. 다문화사회의 개념과 이론에 대해 서술할 수 있다. 2. 다문화사회의 전개단계 및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3. 다문화사회에서 다문화과정과 그 문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14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과학기술과 위험 사회 |
|
|
학습내용 | 1. 과학기술사회의 위험 문제 2. 과학기술과 위험 사회 3. 과학기술과 사회적 쟁점 |
|||
학습목표 | 1. 과학기술사회가 내포한 위험 문제들을 서술할 수 있다. 2. 과학기술과 위험 사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과학기술과 사회적 쟁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인공지능과 사회 |
|
|
학습내용 | 1.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 2. 인공지능의 유용성과 위험 3. 인공지능과 사회 및 인간 |
|||
학습목표 | 1.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인공지능에 대해 서술할 수 있다. 2. 인공지능의 유용성과 위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인공지능과 사회, 인간과의 관계를 해석할 수 있다. |
|||
제15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기말고사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2차시 | 차시제목 | 기말고사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수업 참고사항 |
별도 참고사항이 없습니다.
|
---|---|
강의 유형 |
이론중심( V ), 토론, 세미나 중심( ), 실기 중심( ), 이론 및 토론, 세미나 병행( ), 이론 및 실험, 실습 병행( ), 이론 및 실기 병행( )
|
교재 정보 |
교재정보 보기
|
수강후기
교재안내
총 0건교수소개

김성묵 교수님
- 주요학력
- 서울대학교 사회학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석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 정책학 박사
- 주요경력
- 현) TNO Korea 공동대표
전) KANTAR TNS Korea 전문(시장조사, 정책조사)
전) 대륙연구소, 조사본부 선임(시장조사, 정책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