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콘크리트
모집중- 건축공학
강좌소개
수업개요 | 역학의 기본원리와 실험결과로 얻어진 철근콘크리트 구조이론을 이해하고, 철근콘크리트 구조이론과 시방서규준의 적용방법을 습득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석 및 설계능력을 키운다. 세부 내용으로 압축, 인장 강도와 탄성계수, 건조수축 및 철근 등 철근콘크리트 재료 특성에 대해 학습하고, 휨 부재의 해석과 설계에서는 강도 감소 계수와 하중계수, 보의 휨 파괴, 직사각형과 T형보의 단면 해석과 설계에 대해 학습한다. 전단과 비틀림에서는 전단응력과 강도,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전단응력 등에 대해 습득한다. 그 외에 슬래브, 기둥, 옹벽, 기초판, 라멘과 아치와 같은 구조물에 대한 해석과 설계를 학습한다. | ||||||||||||||
---|---|---|---|---|---|---|---|---|---|---|---|---|---|---|---|
수업목표 | ● 철근콘크리트의 구조이론과 시방서 규준의 적용방법을 이해하고 실제 설계에 적용할 수 있다.
● 철근콘크리트 재료의 기본 특성(압축강도, 인장강도, 탄성계수, 건조수축, 크리프 등)을 설명할 수 있다. ● 철근의 기계적 특성과 역할을 이해하고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 휨 부재의 해석 및 설계 원리를 이해하고 강도감소계수 및 하중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 ● 직사각형 보 및 T형보의 단면 해석과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 전단응력과 전단강도 개념을 이해하고 보의 전단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전단응력을 이해하고 비틀림을 고려한 설계를 할 수 있다. ● 슬래브, 기둥, 옹벽, 기초판의 해석 및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 역학의 기본 원리를 기반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을 설명할 수 있다. ● 실험 결과와 구조이론을 연계하여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
||||||||||||||
평가기준 |
|
||||||||||||||
수료기준 | 출석률80%, 상대평가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모두 미응시 시 미수료) | ||||||||||||||
특이사항 |
강의계획서
과목명 | 교수명 | 교수연락처 | 이메일 | 년도/차시 |
---|---|---|---|---|
철근콘크리트 | 김병준 | 1588-4035 | help@uni-edu.co.kr | 2025년 1-10차 |
학습기간 | 강의시간 | 학점 | 평가구분 | 수강대상 강의실 및 주요 수업방법 |
2025년 07월 28일 ~ 2026년 02월 28일 | 15주 | 3 | 상대평가 |
<수강대상>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자 <주요 수업 방법> -원격강의 |
평가기준 | |||||||
---|---|---|---|---|---|---|---|
출석 | 중간고사 | 기말고사 | 과제 | 토론 | 퀴즈 | 기타 | 계 |
15% | 25% | 25% | 15% | 10% | 5% | 5% | 100% |
과목 수료조건: 총점 60점 이상(60점 미만 F), 출석률 80%이상(출석률 80%미만은 출석과락) |
주요 학사일정 |
|
---|---|
과목개요 | 역학의 기본원리와 실험결과로 얻어진 철근콘크리트 구조이론을 이해하고, 철근콘크리트 구조이론과 시방서규준의 적용방법을 습득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석 및 설계능력을 키운다. 세부 내용으로 압축, 인장 강도와 탄성계수, 건조수축 및 철근 등 철근콘크리트 재료 특성에 대해 학습하고, 휨 부재의 해석과 설계에서는 강도 감소 계수와 하중계수, 보의 휨 파괴, 직사각형과 T형보의 단면 해석과 설계에 대해 학습한다. 전단과 비틀림에서는 전단응력과 강도,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전단응력 등에 대해 습득한다. 그 외에 슬래브, 기둥, 옹벽, 기초판, 라멘과 아치와 같은 구조물에 대한 해석과 설계를 학습한다. |
수업목표 | ● 철근콘크리트의 구조이론과 시방서 규준의 적용방법을 이해하고 실제 설계에 적용할 수 있다.
● 철근콘크리트 재료의 기본 특성(압축강도, 인장강도, 탄성계수, 건조수축, 크리프 등)을 설명할 수 있다. ● 철근의 기계적 특성과 역할을 이해하고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 휨 부재의 해석 및 설계 원리를 이해하고 강도감소계수 및 하중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 ● 직사각형 보 및 T형보의 단면 해석과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 전단응력과 전단강도 개념을 이해하고 보의 전단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전단응력을 이해하고 비틀림을 고려한 설계를 할 수 있다. ● 슬래브, 기둥, 옹벽, 기초판의 해석 및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 역학의 기본 원리를 기반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을 설명할 수 있다. ● 실험 결과와 구조이론을 연계하여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
상대평가 안내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평가인정 학습과정 운영지침에 따라 평가는 상대평가로 진행됩니다. (교육부 고시 제 2015-85호, 2016년 1월 6일 제정, 2016년 1월 1일 시행) 상대평가에 의거하여 학습자의 순위에 따라 백분율로 산정되며 A(30%), B(40%), C이하(30%)의 비율을 기준으로 성적이 부여됩니다. 또한 부여받은 점수는 최종 점수조정을 거쳐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 최종적으로 성적보고가 됩니다. (출석률 80%미만, 상대평가 점수 60점 미만은 F처리되며 상대평가에서 제외됩니다.) |
주별 | 차시 | 강의(실습ㆍ실기ㆍ실험) 내용 | 과제 및 기타 참고사항 | |
---|---|---|---|---|
제1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철근콘크리트의 정의 및 역사 |
|
|
학습내용 | 1. 철근콘크리트의 정의 2. 철근콘크리트의 특징 3. 철근콘크리트의 설계개념 |
|||
학습목표 | 1. 철근콘크리트에 대한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2. 철근콘크리트의 특징과 적용사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철근콘크리트의 설계개념(허용응력설계법, 강도설계법 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재료의 역학 특성 |
|
|
학습내용 | 1. 재료의 응력, 변형률, 후크의 법칙, 포아송비 2. 재료의 거동 특성 3. 재료의 파괴 유형 |
|||
학습목표 | 1. 재료의 역학 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재료의 거동 특성(선형-탄성, 비선형-탄성, 비선형-비탄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재료의 파괴 유형(연성파괴, 취성파괴, 피로파괴 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제2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콘크리트의 재료 특성 1 |
|
|
학습내용 | 1. 콘크리트의 개요 및 구성재료 2. 콘크리트의 특성 및 요건 3.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
|||
학습목표 | 1. 콘크리트의 개요 및 구성재료에 대해 나열할 수 있다. 2. 콘크리트의 특성 및 요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콘크리트의 재료 특성 2 |
|
|
학습내용 | 1.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탄성계수 2. 콘크리트의 크리프, 건조수축 |
|||
학습목표 | 1.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탄성계수를 설명할 수 있다. 2. 콘크리트의 크리프, 건조수축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3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철근의 재료 특성 |
|
|
학습내용 | 1.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휨강도, 부착강도 2. 철근의 종류 및 재료적 특성(응력-변형률) |
|||
학습목표 | 1.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휨강도, 부착강도를 설명할 수 있다. 2. 철근의 종류와 재료적 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휨이론의 가정 |
|
|
학습내용 | 1. 휨이론의 기본 가정 2. 철근콘크리트 보의 거동 3. 콘크리트의 등가 직사각형 압축응력 분포 |
|||
학습목표 | 1. 휨이론의 기본 가정을 설명할 수 있다. 2. 철근콘크리트 보의 거동을 나열할 수 있다. 3. 콘크리트의 등가 직사각형 압축응력 분포를 설명할 수 있다. |
|||
제4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인장지배 및 압축지배 |
|
|
학습내용 | 1. 보의 순인장변형률, 압축지배단면, 인장지배단면 2. 보의 허용인장변형률, 강도감소계수 |
|||
학습목표 | 1. 보의 순인장변형률을 계산하고, 압축지배단면과 인장지배단면을 판별할 수 있다. 2. 보의 허용인장변형률과 변화구간의 강도감소계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단철근 직사각형보 |
|
|
학습내용 | 1. 균형철근, 최소철근비 및 최대철근비 2. 설계휨강도의 계산, 단철근 직사각형보의 설계 |
|||
학습목표 | 1. 단철근 직사각형보의 균형철근, 최소철근비 및 최대 철근비를 계산할 수 있다. 2. 설계휨강도를 계산하고, 단철근 직사각형의 설계를 할 수 있다. |
|||
제5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복철근 직사각형보 |
|
|
학습내용 | 1. 복철근 직사각형보의 정의 및 특징 2. 복철근 직사각형보의 단면 해석 및 설계 |
|||
학습목표 | 1. 복철근 직사각형보의 정의 및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2. 복철근 직사각형보의 단면을 해석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T형보 1 |
|
|
학습내용 | 1. T형보의 개요, T형보의 유효폭 계산 2. T형보의 판정 |
|||
학습목표 | 1. T형보의 정의에 대해 기술하고 유효폭을 계산할 수 있다. 2. 등가응력 사각형의 깊이에 따라 T형보를 판정할 수 있다. |
|||
제6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T형보 2, 사용성 1 |
|
|
학습내용 | 1. T형보의 단면 해석 2. 철근콘크리트의 피로 |
|||
학습목표 | 1. T형보의 단면을 해석할 수 있다. 2. 철근콘크리트의 피로에 대해 검토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사용성 2 |
|
|
학습내용 | 1. 철근콘크리트의 처짐 2. 철근콘크리트의 균열 |
|||
학습목표 | 1. 철근콘크리트의 처짐에 대해 검토할 수 있다. 2. 철근콘크리트의 균열에 대해 검토할 수 있다. |
|||
제7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보의 전단거동과 전단응력 |
|
|
학습내용 | 1. 보의 전단거동 및 전단응력 2. 전단철근이 없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파괴, 전단철근의 종류 |
|||
학습목표 | 1. 보의 전단거동과 전단응력을 설명할 수 있다. 2. 전단철근이 없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파괴 및 전단철근의 종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전단철근의 설계 |
|
|
학습내용 | 1. 전단설계의 개념 2. 전단철근의 설계(수직스트럽, 경사스트럽 및 굽힙철근) |
|||
학습목표 | 1. 전단설계의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전단철근의 설계를 할 수 있다. |
|||
제8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중간고사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2차시 | 차시제목 | 중간고사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제9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보의 비틀림 |
|
|
학습내용 | 1. 보의 비틀림거동, 비틀림모멘트 2. 비틀림 전단응력 |
|||
학습목표 | 1. 보가 비틀릴 때 발생하는 회전 변위 및 비틀림모멘트의 정의와 해석 이론(박벽관 트러스 모델)을 이해하고, 관련 가정사항을 설명할 수 있다. 2. 비틀림모멘트에 의해 발생하는 전단응력의 정의를 이해하고, 최대 전단응력의 발생 위치를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비틀림철근의 설계 및 구조세목 |
|
|
학습내용 | 1. 비틀림철근의 종류 및 설계 개요 2. 비틀림 철근의 구조상세 |
|||
학습목표 | 1. 비틀림철근(폐쇄스트럽과 종방향철근)의 특징·역할을 설명할 수 있고, 설계의 기본 원칙과 최소 비틀림철근량 산정할 수 있다. 2. 비틀림철근의 정착 방식과 배근 간격 등 구조상세 기준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
제10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철근의 정착과 이음 |
|
|
학습내용 | 1. 철근의 정착 및 부착파괴의 개념 2. 정착길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이형철근의 정착길이 계산 |
|||
학습목표 | 1. 철근의 정착길이, 부착파괴형태 및 정착길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콘크리트 강도, 철근의 종류, 피복두께 등)을 설명할 수 있다. 2. 인장 및 압축을 받는 이형철근의 정착길이를 기준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휨철근의 정착과 철근의 이음 |
|
|
학습내용 | 1. 휨철근 정착 2. 철근의 이음, 철근의 간격 |
|||
학습목표 | 1. 휨철근의 정착 원칙과 철근 연장의 기준을 설명할 수 있다. 2. 철근의 이음 방법과 철근 간격 제한 기준을 비교하고 설명할 수 있다. |
|||
제11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기둥의 개요 및 제한사항 |
|
|
학습내용 | 1. 기둥의 개요 및 제한사항 2. 기둥의 좌굴하중 |
|||
학습목표 | 1. 기둥의 정의 및 기둥 설계 시 적용되는 철근 수, 간격, 철근비 등 제한사항을 설명할 수 있다. 2. 기둥의 좌굴 현상을 이해하고 좌굴하중과 유효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기둥의 설계 |
|
|
학습내용 | 1. 축하중(P)과 모멘트(M)의 관계(P-M상관도) 2. 단주와 장주의 판별 및 기둥의 설계 |
|||
학습목표 | 1. 기둥에 작용하는 축하중과 휨모멘트 간의 관계를 설명하고, P-M 상관도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2. 기둥의 세장비와 파괴양상을 바탕으로 단주와 장주를 구분하고, 기둥의 종류에 따라 설계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
|||
제12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슬래브의 개요, 1방향 슬래브 |
|
|
학습내용 | 1. 슬래브의 개요 2. 1방향 슬래브의 구조적 특성, 설계법(근사해법) |
|||
학습목표 | 1. 슬래브의 정의를 이해하고, 다양한 슬래브의 종류를 구분하여 나열할 수 있다. 2. 1방향 슬래브의 구조적 특성을 이해하고, 근사해법을 적용하여 1방향 슬래브를 설계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2방향 슬래브 |
|
|
학습내용 | 1. 2방향 슬래브의 구조적 특성 및 직접설계법 2. 2방향 슬래브의 구조 상세 |
|||
학습목표 | 1. 2방향 슬래브의 지지조건과 하중 전달 방향에 따른 구조적 특성 및 직접설계법의 주요 제약 조건을 설명할 수 있다. 2. 2방향 슬래브의 철근 배치 및 구조 상세 기준을 설명할 수 있다. |
|||
제13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기초설계 개요 |
|
|
학습내용 | 1. 기초의 개념, 종류 및 파괴형태 2. 기초 밑면의 지반 지지력 |
|||
학습목표 | 1. 기초의 기능, 설치 목적 및 종류에 대해 설명할 수 있고, 확대기초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괴 형태의 종류를 구분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기초 하부 지반의 지지력 개념과 지반반력 분포 형태를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확대기초의 설계 |
|
|
학습내용 | 1. 확대기초의 설계요소 2. 다양한 형태의 확대기초의 설계 개요 |
|||
학습목표 | 1. 확대기초의 넓이 산정, 휨모멘트, 전단, 지압강도 등 주요 설계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2. 벽 확대기초, 연결 확대기초, 캔틸레버 확대기초의 설계 개요를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
|||
제14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옹벽의 개요, 옹벽에 작용하는 하중 |
|
|
학습내용 | 1. 옹벽의 개념 및 종류 2. 옹벽에 작용하는 하중 |
|||
학습목표 | 1. 옹벽의 역할과 구조적 개념을 설명하고, 주요 옹벽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2. 토압, 지하수압, 상재하중 등 옹벽에 작용하는 다양한 하중의 개념과 작용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
|||
2차시 | 차시제목 | 옹벽의 설계 및 안정 |
|
|
학습내용 | 1. 옹벽의 구조해석 방법 2. 옹벽의 안정에 대한 해석 |
|||
학습목표 | 1. 전면벽, 저판, 앞·뒷부벽의 구조적 역할을 이해하고, 해석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2. 전도, 활동, 침하에 대한 안정성 검토 항목을 이해하고, 각 항목별 해석 절차를 설명할 수 있다. |
|||
제15주 |
|
|||
1차시 | 차시제목 | 기말고사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
2차시 | 차시제목 | 기말고사 |
|
|
학습내용 | ||||
학습목표 |
수업 참고사항 |
별도 참고사항이 없습니다.
|
---|---|
강의 유형 |
이론중심( V ), 토론, 세미나 중심( ), 실기 중심( ), 이론 및 토론, 세미나 병행( ), 이론 및 실험, 실습 병행( ), 이론 및 실기 병행( )
|
교재 정보 |
교재정보 보기
|
수강후기
교재안내
총 0건교수소개

김병준 교수님
- 주요학력
-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학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토목공학 전공)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토목공학 전공)
- 주요경력
- 현) 한국아스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 선임연구원(품질검사, 시험 업무)